비오는 날 하늘을 섬기던 사람들은 저 먼데로 하나 둘 떠나버리고 벼락 맞은 굽은 소나무 남아 자리 지키며 울고 있오. 달도 빛도 삼켜버린 어둠에 또 쏟아지는 비를 바라보는 스산하게 바람부는 소리 사람들이 섬기던 하늘은 자취도 없이 몰락했는데 꺾인 소나무 홀로 남아 피를 흘리는 울음을 참.. 자작시와 자작소설/시; 89년~91년 2013.02.19
노을 웃을 수 있는 자유는 행복하지만 웃음을 잃어버린 땅.그리고 저 天上. 누이의 밝은 동안. 첫사랑 그리워하는 봉숭아 손톱의 빛깔은 아직 강열하지만, 고온 하늘은 이미 저물어 저물어. 눈동자에 흐르는 옻. 몹시 가렵다. 맘껏 긁으려문. 충혈된 눈. 한치의 욕심을 위한 전장터. 솟아오르는 .. 자작시와 자작소설/시; 89년~91년 2013.02.19
나비에게 바람도 찢고 긴 시간도 찢고 핏물마냥 붉게 엉겨 붙은 철조망 너머 먼 이역의 땅을 향하여 노란 날개 지금 거센 비가 오고 있는데 나비는 두리번거리고 있다. 생각할 수 있는 이들은 이미 뵈지 않고 들꽃 한송이 피우지 못할 척박한 곳에 더 원시적일 수 없는 쇠붙이 게 의지한 이들 뿐인.. 자작시와 자작소설/시; 89년~91년 2013.02.19
북한강 오늘에야 길을 잃는 젊은 병사는 총을 버려둔 채 강물로 뛰어들고 더 이상 詩를 못쓰는 늙은 시인도 몸을 던져 마지막 肉詩를 썼다. 먼 하늘이 붉게 충혈되었다. 몇세기 홀몸의 외로움을 산자락에 부딪히며 미친년 머리칼처럼 마구 흩어져 달려온 강물이야, 기꺼이 그들을 품에 안는다. .. 자작시와 자작소설/시; 89년~91년 2013.02.19
어릿광대 戀歌 그대 맑은 두 눈에 메마른 오월의 안타까움을 남겨두고 이제 가야하리 꽃잎처럼 슬픔이 날리는데 왜 이 계절에는 눈물 감출 비 오는 거리가 없어 뜨겁게 포옹하던 우리의 신앙은 기어이 시간 속에 묻혀버리고 사랑하는 이여. 가야하리. 또 다른 분장이 기다리는 곳에 또 거짓말처럼 흘러.. 자작시와 자작소설/시; 89년~91년 2013.02.19
旅程 갸냘픈 목소리 저 먼 자욱한 황사에서 애절한 신음소리 발길을 멈추었다. 슬픈 육성을 찾아 헤맸지만 낯선 거리, 낯선 사람들 아무도 없어 세상은 곁으로 흘러갈 뿐인데 가는 길을 괴롭히는 이 애절함은 이방인의 환청인가 하지만 또 들려오는 -- 그대 지금 어딜 가오. 갸냘픈 목소리 몰려.. 자작시와 자작소설/시; 89년~91년 2013.02.19
石像에게 거칠게 마모된 형체,온몸을 흐르는 찢긴 자국이여. 견디지 못할 온갖 능욕도 떳떳한 역사로 알아 아직도 살아 있는 생명이여. 봄이 오고 계절이 바뀌고 지난 가을 제 에미를 죽이고 번식했을 어린 벌가지들이 발끝을 간지러도 미소를 모르는 안타까움은 큰 통곡이라도 남기고 금시 주저.. 자작시와 자작소설/시; 89년~91년 2013.02.18
치 악 산 바람같이 달려 한 호흡 멈추지 않은 가세로 달려 다다른 반도 과거의 차가운 겨울은 지났는가 푸른 들, 까부는 벌가지들 게 우뚝이 서서 그래도 차가운 잔설을 머리에 이고 산산히 찢긴 시간을 아직도 끝나지 않은 과거를 울부짖어.... 진정 자네의 머리에 희게 드리운 가시 면류관이 아픈.. 자작시와 자작소설/시; 89년~91년 2013.02.18
우리가 바라보는 하늘은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하늘은 쏟아질 듯 푸르게 웃음 짓는 별빛이 아니야 먹구름 속에서 잠시 모습 드러낸 팔월 보름으로 나아가는 깨진 반달도 아니야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하늘은 땀흘리고 피멍든 얼굴들이 비춰지는 우리의 세월들 장난같이 흘러가는 그러나 엄숙히 흘러가는 어린 .. 자작시와 자작소설/시; 89년~91년 2013.02.18
살고 싶으이 살고 싶으이 저 하늘 너머 저 구름 너머 푸르름이 다하는 곳까지 눈물처럼 살고 싶으이 저기 동녘 아침 해가 떠오르면 그 해보고 가쁜 인사를 하고 간밤 피로 잊으며 땀 흘리려 쟁기들고 나서는 젊은이들이 새롭게 숨을 쉬며 웃을 때까지 예서 살고 싶으이 가라 해도 떠나라 해도 함성으.. 자작시와 자작소설/시; 89년~91년 2013.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