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항복의 한시(11) - 위급한 나라를 지키려 5수 * 從軍行(종군행) ; 군대를 따라 * 苦雨(고우) ; 궂은비 * 單于夜宴啚(선우야연도) ; 선우 추장의 밤 잔치 모습을 그리다 * 雨後巡邊(우후순변) ; 비 내린 뒤 변방을 돌아보며 * 鯨島閱兵(경도열병) ; 경도의 고래섬에서 군대를 점검하다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2.01
이항복의 한시(10) - 사람들을 기리며 4수 * 寄申敬叔(기신경숙) ; 경숙 신흠(申欽) 공에게 * 訪梅月堂(방매월당) ; 매월당이 머물던 곳을 찾아가다 * 漢陰挽(한음만) 1 ; 한음에 대한 만사 * 漢陰挽(한음만) 2 ; 한음에 대한 만사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1.31
이항복의 한시(9) - 백성들의 아픔을 느끼며 2수 * 棄婦(기부) ; 버림받은 아낙 * 四月初二日霜降(사월초이일상강) ; 사월 초이튿날 서리가 내려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1.31
정약용의 한시 '원일서회(元日書懷)' 원문과 풀이 元日書懷 庚午在茶山(원일서회 경오재다산) ; 경오년(1810)에 다산에 있으면서 정월 초하룻날의 감회를 적다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1.29
이식의 한시 '제야 이란산잔설야고촉이향인분운' 원문과 풀이 除夜, 以亂山殘雪夜孤燭異鄕人分韻, 作十絶句. 제야 이란산잔설야고촉이향인분운 작십절구 제야(除夜)에 난산잔설야 고촉이향인(亂山殘雪夜 孤燭異鄕人)의 운을 나누어서 절구 열 수를 짓다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