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풀어 읽기-총람/풍물한양가 42

한양가(한산거사) - 6.능행 _ 다.능행준비

6. 능행 다. 능행 준비 전세(田稅) 대동(大同) 실은 배와 두대박이 외대박이 당도리며 먼정이며 중거루 낚거루를 십리장강(十里長江) 넓은 물에 머리 맞게 늘어 세고 선장(船匠)이며 지휘목수(指揮木手) 주야(晝夜)로 일을 할 제 주교별장(舟橋別將) 군복(軍服)하고 이리 가며 저리 가며 등패(等牌)를 영통(領統)하여 결곤(決棍) 신칙 일을 몬다. 배 위에 장송(長松) 깔고 장송 위에 박송(薄松) 깔고 그 위에 모래 펴고 모래 위에 세사(細砂)펴고 그 위에 황토(黃土) 깔고 좌우에 난간 짜고 팔뚝 같은 쇠사슬로 뱃머리를 걸어 매고 양 끝에 홍전문(紅箭門)과 한가운데 홍전문에 홍기(紅旗)를 높이 꽂고 좌우의 뱃사공은 청의청건(靑衣靑巾) 남전대에(藍纏臺)에 오색기(五色旗) 손에 들고 십리주교(十里舟橋) 벌였으니..

한양가(한산거사) - 6.능행 _ 나.능행령

6. 능행 나. 능행령 해마다 정월이면 태묘(太廟) 사직(社稷) 다니신 후 능행령(陵幸令) 내리시니 남도거동(南道擧動) 되신다네. 남도는 화성부(華城府)라 두 능을 모셨으니 건능(健陵)과 현륭원(顯隆園)에 춘전알영(春展謁令)이 났다. 병판(兵判)은 군령(軍令) 대령 각 영문(營門) 장신(將臣)네는 군장점고(軍裝點考) 신칙(申飭)하고 백각사(百各司) 관원들은 군복융복(軍服戎服) 치장(治粧)하고 백각사 하인들은 능행복색(陵幸服色) 재촉하니 택일(擇日)은 삼월이라. 능행도 하시면서 춘성경(春省耕) 하시련다. 호조(戶曹)의 별례방(別例房)은 계사(計士)를 영통(領統)하여 각색장색(各色匠色) 거느리고 능소(陵所)로 바삐 가고 주교대장(舟橋大將) 전령(傳令)하여 주교(舟橋)를 신칙(申飭)한다. ---------- ..

한양가(한산거사) - 6.능행 _ 가.조선개국

6. 능행 가. 조선 개국 춘성(春城) 삼백 구십교(九十橋)와 대도청루(大道靑樓) 십이중(十二重)에 집집이 관현(管絃)이요, 거리거리 노래로다. 연풍해전(年豊海甸) 가가주(家家酒)요 춘만강성(春滿江城) 처처화(處處花)라. 동도부(東都賦) 서도부(西都賦)며 임고대(臨高臺) 제경편(帝京編)과 제왕국도(帝王國都) 지은 글이 번화가 장(壯)하건만 자성제인(子誠齊人) 어린 소견 우리 한양(漢陽) 제일이라. 임자는 그 뉘신고, 하늘이 내신 임금. 적덕백년(積德百年) 태조대왕(太祖大王) 홍무(洪武)에 등극(登極)하사 예악법도(禮樂法度) 소중화(小中華)라 선리건곤(仙李乾坤) 거룩하다. 계계승승(繼繼承承) 성자신손(聖子神孫) 즐겁구나 우리 성주(聖主) 어질기는 요순(堯舜)이요, 효(孝)롭기는 문무(文武)로다. 주(周)나..

한양가(한산가사) - 5.놀이 _ 바.노래와춤

5. 놀이 바. 노래와 춤 차례로 늘어앉아 놀음을 재촉한다. 화려한 거문고는 안족(雁足)을 옮겨 놓고 문무현(文武絃) 다스리니 농현(弄絃) 소리 더욱 좋다. 한만(汗漫)한 저 다스림 길고 길고 구슬프다. 피리는 침을 뱉고 해금(奚琴)은 송진(松津) 그을고 장구[長鼓]는 굴레 조여 더덕을 크게 치니 관현(管絃)의 좋은 소리 심신(心身)이 황홀하다. 거상조(擧床調) 내린 후에 소리하는 어린 기생 한 손으로 머리 받고 아미(蛾眉)를 반쯤 숙여 우조(羽調)라 계면(界面)이며 소용(搔聳)이 편락(編樂)이며 춘면곡(春眠曲) 처사가(處士歌)며 어부사(漁父詞) 상사별곡(相思別曲) 황계타령(黃鷄打令) 매화타령(梅花打令) 잡가(雜歌) 시조(時調) 듣기 좋다. 춤추는 기생(妓生)들은 머리에 수건 매고 웃영산(-靈山) 늦은 ..

한양가(한산거사) - 5.놀이 _ 마.기생점고

5. 놀이 마. 기생 점고 각색 기생 들어 온다, 예사로운 놀음에도 치장(治粧) 놀랍거든 하물며 승전(承傳)놀음 별감(別監)의 놀음인데 범연(泛然)히 치장하랴. 얼음 같은 누런 전모(氈帽) 자지갑사(紫芝甲紗) 끈을 달고 구름 같은 허튼 머리 반달 같은 쌍얼레로 솰솰 빗겨 고이 빗겨 편월(片月) 좋게 땋아 얹고 모단삼승(毛緞三升) 가르마를 앞을 덮어 숙여 쓰고 산호잠(珊瑚簪) 밀화(蜜花)비녀 은비녀 금봉차(金鳳釵)를 이리 꽂고 저리 꽂고 당가화(唐假花) 상가화(常假花)를 눈을 가려 자주 꽂고 도리불수(桃李佛手) 모초단(毛綃緞)을 웃저고리 지어 입고 양색단(兩色緞) 속저고리 갖은 패물 꿰어 차고 남갑사(藍甲紗) 은조사(銀條紗)며 화갑사(花甲紗) 긴치마를 허리 졸라 동여 입고 백방수주(白紡繡紬) 속속곳과 수갑..

한양가(한산거사) - 5.놀이 _ 라.놀음차림

5. 놀이 라. 놀음 차림 편월(片月) 상투 밀화(蜜花) 동곳 대(大)자 동곳 섞어 꽂고 곱게 뜬 평양망건(平壤網巾) 외점박이 대모관자(玳瑁貫子) 상의원(尙衣院) 자지팔사(紫芝八絲) 초립(草笠) 밑에 팔괘(八卦) 놓고 남융사(藍絨絲) 중도리(中-)에 오동입식(烏銅笠飾) 껴서 달고 손뼉 같은 수사(繡絲) 갓끈 귀를 가려 숙여 쓰고 다홍생초(茶紅生綃) 고운 홍의(紅衣) 숙초창의(熟綃氅衣) 받쳐 입고 보라 누비 저고리에 외올뜨기 누비바지 양색단(兩色緞) 누비 배자(褙子) 전배자(氈褙子) 받쳐 입고 금향수주(錦香繡紬) 누비 토시[吐手] 전토시(氈-) 받쳐 끼고 중동(中-) 치레 볼작시면 우단 대단(羽緞大緞) 도리불수(桃李佛手) 각색 줌치 묘히 접어 나비매듭 벌매듭에 파리매듭 도래매듭 색색으로 꿰어 차고 오색비단..

한양가(한산거사) - 5. 놀이 _ 다.승전놀음

5. 놀이 다. 승전놀음 구경 가자 구경 가자, 승전놀음(承傳-) 구경 가자. 북일영(北一營) 군자정(君子亭)에 좋은 놀음 벌였구나. 눈빛 같은 흰 휘장(揮帳)과 구름 같은 높은 차일(遮日) 차일 아래 유둔(油芚)치고 마루 끝에 보계판(補階板)과 아로새긴 서까래에 각 영문(營門) 사촉롱(紗燭籠)을 빈틈없이 달아 놓고 좁쌀 구슬 화초등(花草燈)과 보기 좋은 양각등(羊角燈)을 차례(次例) 있게 걸어 놓고 난간 밖에 춘화(春花) 가화(假花) 붉은 비단 허리 매어 빙문(氷紋)진 유리병에 가득히 꽂아 놓고 각색 총전(-氈) 몽고전(蒙古氈)과 만화(滿花) 등메 담방석(毯方席)에 백통[白銅] 타구(唾具) 옥타구며 백통 요강(尿綱) 은재털이 왜찬합(倭饌盒)과 당(唐)찬합과 아로새긴 교자상(交子床)과 모란병풍(牡丹屛風)..

한양가(한산거사) - 5.놀이 _ 나.놀이장소

5. 놀이 나. 놀이 장소 놀이처 어디멘고, 누대(樓臺) 강산 좋을시고. 조양루(朝陽樓) 석양루(夕陽樓)며 명선루(明宣樓) 춘수루(春水樓)와 홍엽정(紅葉亭) 노인정(老人亭)과 송석원(松石園) 생화정(生花亭)과 영파정(映波亭) 춘초정(春草亭)과 장유헌(壯猷軒) 몽답정(夢踏亭)과 필운대(弼雲臺) 상선대(上仙臺)와 옥류동(玉流洞) 도화동(桃花洞)과 창의문(彰義門) 밖 내달아서 탕춘대(蕩春臺) 세검정(洗劒亭)과 옥천암(玉川庵) 석경루(石瓊樓)와 한북문(漢北門) 진관(津寬)이며 경강정(景江亭) 내달아서 창랑정(滄浪亭) 압구정(鴨鷗亭)과 족한정(足閑亭) 탁영정(濯纓亭)과 별영(別營) 안 읍청루(揖淸樓)로다. ---------- * 누대(樓臺): 누각과 대사(臺榭)와 같은 높은 건물. * 조양루(朝陽樓): 동촌(현 ..

한양가(한산거사) - 5.놀이 _ 가.여러놀이

5. 놀이 가. 여러 놀이 화려(華麗)가 이러할 제 놀이인들 없을쏘냐. 장안소년(長安少年) 유협객(遊俠客)과 공자왕손(公子王孫) 재상자제(宰相子弟) 부상대고(富商大賈) 전시정(廛市井)과 다방골(茶房-) 제갈동지(-同知) 별감무감(別監武監) 포도군관(捕盜軍官) 정원사령(政院使令) 나장(羅將)이라. 남북촌(南北村) 한량(閑良)들이 각색 놀음 장할시고. 선비의 시축놀음(詩軸-) 한량의 성청놀음(成聽-) 공물방(貢物房) 선유놀음(船遊-) 포교(捕校)의 세찬놀음(歲饌-) 각사서리(各司書吏) 수유놀음(受由-) 각 집 겸종(傔從) 화류놀음(花柳-) 장안(長安)의 편사놀음(便射-) 장안의 호걸놀음(豪傑-) 재상(宰相)의 분부놀음(吩咐-) 백성의 중포놀음(中脯-) 각색 놀음 벌어지니 방방곡곡 놀이처(-處)라. -----..

한양가(한산거사) - 4.상점 _ 바.약방

4. 상점 바. 약방 구리개 좌우 집에 신농유업(神農遺業) 써 붙이고 각색 약이 다 있구나, 수세제중(壽世濟衆) 하리로다. 인삼 사삼(沙蔘) 현삼(玄蔘)이며 황련(黃蓮) 황금(黃芩) 황백(黃栢)이며 진피청피(陳皮靑皮) 대복피(大腹皮)며 감초자초(甘草紫草) 하고초(夏枯草)며 우황타황(牛黃駝黃) 구황(狗黃)이며 웅담구담(熊膽狗膽) 사담(蛇膽)이며 침향정향(沈香丁香) 당사향(唐麝香)과 용뇌용안(龍腦龍眼) 용골(龍骨)이며 소합환(蘇合丸) 광제환(廣濟丸)과 태을환(太乙丸) 소침환(燒鍼丸)과 청심환(淸心丸) 안신환(安神丸)과 포룡환(抱龍丸) 만응환(萬應丸)과 운모고(雲母膏) 우황고(牛黃膏)며 오독고(五毒膏) 신이고(神異膏)며 제중단(濟衆丹) 옥추단(玉樞丹)과 벽온단(辟瘟丹) 자금단(紫金丹)과 옥설금설(玉屑金屑)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