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놀이
바. 노래와 춤
차례로 늘어앉아 놀음을 재촉한다.
화려한 거문고는 안족(雁足)을 옮겨 놓고
문무현(文武絃) 다스리니 농현(弄絃) 소리 더욱 좋다.
한만(汗漫)한 저 다스림 길고 길고 구슬프다.
피리는 침을 뱉고 해금(奚琴)은 송진(松津) 그을고
장구[長鼓]는 굴레 조여 더덕을 크게 치니
관현(管絃)의 좋은 소리 심신(心身)이 황홀하다.
거상조(擧床調) 내린 후에 소리하는 어린 기생
한 손으로 머리 받고 아미(蛾眉)를 반쯤 숙여
우조(羽調)라 계면(界面)이며 소용(搔聳)이 편락(編樂)이며
춘면곡(春眠曲) 처사가(處士歌)며 어부사(漁父詞) 상사별곡(相思別曲)
황계타령(黃鷄打令) 매화타령(梅花打令) 잡가(雜歌) 시조(時調) 듣기 좋다.
춤추는 기생(妓生)들은 머리에 수건 매고
웃영산(-靈山) 늦은 춤에 중령산(中靈山) 춤을 몰아
잔영산(-靈山) 입춤(立-) 추니 무산선녀(巫山仙女) 내려온다.
배따라기 북춤이며 대무(對舞) 남무(男舞) 다 춘 후에
안 올린 벙거지의 성성전(猩猩氈) 전두리에
주먹 같은 밀화증자(蜜花鏳子) 매미 새겨 달고
갑사군복(甲紗軍服) 홍수(紅袖) 달아 남수화주(藍繡花紬) 긴 전대(纏帶)를
허리를 잔뜩 매고 상모(象毛) 단 노는 칼을
두 손에 비껴 쥐고 잔영산(-靈山) 모는 삼현(三絃)
항장(項莊)의 춤이런가, 가슴이 서늘하다.
보기에 번화하고 듣기에 신선하다.
----------
* 안족(雁足): 현악기의 줄을 고르는 기러기발.
* 문무현(文武絃): 거문고에서 제1현인 문현과 제6현인 무현.
* 농현(弄絃): 거문고나 가야금을 연주할 때 왼손으로 줄을 짚고 본래 음 외의 여러 장식음을 내는 연주 방법.
* 한만(汗漫): 넓고 커서 끝이 없는 세상
* 다스림: 음악의 합주에서 악기 간의 속도 호흡 음률을 맞추어보는 것.
* 더덕: 덩더쿵.
* 관현(管絃): 관악기와 현악기
* 거상조(擧床調): 연회 때 큰 상을 받기 전에 먼저 음악을 연주하는 것.
* 아미(蛾眉): 누에나방의 촉수(觸鬚)처럼 털이 짧고 초승달 모양으로 길게 굽은 아름다운 눈썹.
* 우조(羽調): 국악에서, 오음의 하나인 ‘우’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조.
* 소용(搔聳): 폭풍이 불고 소나기가 쏟아지는 듯 또는 제비가 이리저리 날아다니는 듯하다는 곡조.
* 편락(編樂): 장단을 촘촘하게 엮어 흥청거리는 느낌을 주는 곡조.
* 춘면곡(春眠曲), 처사가(處士歌), 어부사(漁父詞), 상사별곡(相思別曲), 황계타령(黃鷄打令), 매화타령(梅花打令): 십이가사의 곡들.
* 웃영산[上靈山], 중령산(中靈山), 잔영산[細靈山]: 풍류방 음악인 영산회상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곡.
* 입춤(立-): 기생들이 보통 옷을 입고 둘이 마주 서서 추는 춤.
* 무산선녀(巫山仙女): 중국 신화 속의 여신. 염제(炎帝)의 딸 요희(磘姬)가 어려서 죽자 천제(天帝)가 그 죽음을 가엾게 여겨 그녀를 무산의 비와 구름을 관장하는 신으로 봉했다고 함.
* 대무(對舞): 마주 서서 춤을 춤.
* 성성전(猩猩氈): 오랑우탄의 붉은 털로 만든 모직
* 전두리: 둥근 뚜껑 따위의 둘레의 가장자리.
* 증자(鏳子): 전립 따위의 위에 꼭지처럼 만들어 달던 장식.
* 남수화주(藍繡花紬): 꽃 무늬 비단에 푸른 수를 놓은
* 전대(纏帶): 허리에 두르거나 어깨에 메게 된 자루
* 상모(象毛): , 모자 꼭대기에 흰 새털이나 긴 종잇조각을 달아 빙글빙글 돌리게 된 것.
* 노는 칼: 칼날이 칼자루와 분리되어 움직이게 만든 칼
* 삼현(三絃): 세 가지 현악기. 곧, 거문고ㆍ가야금ㆍ향비파.
* 항장(項莊): 진(秦)나라 말기의 무장. 항우가 홍문(鴻門)에서 유방을 불러 연회를 베풀었을 때 항우의 신하 항장이 유방을 죽이고자 칼춤을 추었던 것.
'고전총람(운문) > 풍물한양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양가(한산거사) - 6.능행 _ 나.능행령 (0) | 2020.10.12 |
---|---|
한양가(한산거사) - 6.능행 _ 가.조선개국 (0) | 2020.10.12 |
한양가(한산거사) - 5.놀이 _ 마.기생점고 (0) | 2020.10.11 |
한양가(한산거사) - 5.놀이 _ 라.놀음차림 (0) | 2020.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