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총람(운문) 351

한양가(한산거사) - 4.상점 _ 마.그림가게

4. 상점 마. 그림 가게 광통교(廣通橋) 아래 가게 각색 그림 걸렸구나. 보기 좋은 병풍차(屛風次)에 백자도(百子圖) 요지연(瑤池宴)과 곽분양(郭汾陽) 행낙도(行樂圖)며 강남금릉(江南金陵) 경직도(耕織圖)며 한가한 소상팔경(瀟湘八景) 산수(山水)도 기이하다 다락벽(-壁) 계견사호(鷄犬獅虎) 장지문[障子門] 어약용문(魚躍龍門) 해학반도(海鶴蟠桃) 십장생(十長生)과 벽장문차(壁欌門次) 매죽난국(梅竹蘭菊) 횡축(橫軸)을 볼작시면 구운몽(九雲夢) 성진(性眞)이가 팔선녀(八仙女) 희롱하여 투화성주(投花成珠) 하는 모양 주(周)나라 강태공(姜太公)이 궁팔십(窮八十) 노옹(老翁)으로 사립(紗笠)을 숙여 쓰고 곧은 낚시 물에 넣고 때 오기만 기다릴 제 주문왕(周文王) 착한 임금 어진 사람 얻으려고 손수 와서 보는 거..

한양가(한산거사) - 4.상점 _ 라.도자전

4. 상점 라. 도자전 도자전(刀子廛) 마루 저자에 금은보패(金銀寶貝) 놓였구나. 용잠봉잠(龍簪鳳簪) 서복잠(徐福簪)과 간화잠(間花簪) 창포잠(菖蒲簪)과 앞뒤 비녀 민죽절(-竹櫛)과 개구리 앉힌 쪽비녀며 은가락지 옥가락지 보기 좋은 밀화지환(蜜花指環) 금패호박(錦貝琥珀) 가락지와 값 많은 순금 지환(指環) 노리개 볼작시면 대삼작(大三作)과 소삼작(小三作)과 옥나비 금별이며 산호(珊瑚) 가지 밀화불수(蜜花佛手) 옥장도(玉粧刀) 대모장도(玳瑁粧刀) 빛 좋은 삼색(三色) 실로 꼰술 푼술 갖은 매듭 번화하기 측량 없다. ---------- * 도자전(刀子廛): 작은 칼이나 패물 등을 파는 가게. * 보패(寶貝): 보배 * 용잠봉잠(龍簪鳳簪): 잠두(비녀 머리)를 용으로 새긴 비녀와 봉황으로 새긴 큼직한 비녀. ..

한양가(한산거사) - 4.상점 _ 다.육의전

4. 상점 다. 육의전 큰 광통교(廣通橋) 넘어서니 육주비전(六注比廛) 여기로다. 일 아는 열립군(列立軍)과 물화(物貨) 맡은 전시정(廛市井)은 큰 창옷(氅-)에 갓을 쓰고 소창옷에 한삼(汗衫) 달고 사람 불러 흥정할 제 경박(輕薄)하기 측량(測量)없다. 백목전(白木廛) 각색방(各色房)에 무명이 쌓였어라. 강진목(康津木) 해남목(海南木)과 고양(高陽)낳이 강진낳이며 상고목(商賈木) 군포목(軍布木)과 공물목(貢物木) 무녀포(巫女布)와 천은(天銀)이며 정은(丁銀)이며 서양목(西洋木)과 서양주(西洋紬)라. 지전(紙廛)을 살펴보니 각색 종이 다 있구나. 백지(白紙) 장지(壯紙) 대호지(大好紙)며 설화지(雪花紙) 죽청지(竹靑紙)며 선익지(蟬翼紙) 화초지(花草紙)며 깨끗할 사 백면지(白綿紙)며 상화지(霜花紙) 자문..

한양가(한산거사) - 4.상점 _ 나.백각전

4. 상점 나. 백각전 우리나라 소산(所産)들로 부끄럽지 않건마는 타국물화(他國物貨) 교합(交合)하니 백각전(百各廛) 장할시고. 칠패(七牌)의 생선전(生鮮廛)에 각색 생선 다 있구나. 민어(民魚) 석어(石魚) 석수어(石首魚)며 도미 준치 고등어며 낙지 소라 오적어(烏賊魚)며 조개 새우 전어(鱣魚)로다. 남문(南門)안 큰 모전(毛廛)에 각색 실과 다 있구나. 청실뇌(靑梨) 황실뇌 건시(乾時) 홍시(紅柹) 조홍시(早紅柹)며 밤 대추 잣 호도며 포도 경도(瓊桃) 오얏이며 석류(石榴) 유자(柚子) 복숭아며 용안(龍眼) 여지(荔枝) 당대추[唐大棗]로다. 상미전(上米廛) 좌우가가(左右假家) 십년지량(十年之糧) 쌓았어라. 하미(下米) 중미(中米) 극상미(極上米)며 찹쌀 좁쌀 기장쌀과 녹두 청태(靑太) 적두(赤豆) 팥..

한양가(한산거사) - 4.상점 _ 가.성곽

4. 상점 가. 성곽 남편은 숭례문(崇禮門)과 동편은 흥인문(興仁門)과 서편은 소의문(昭義門)과 북편은 창의문(彰義門)이 사관(四關)이 되었으니 수문장(守門將) 호군부장(護軍部長) 수문군(守門軍) 영통(領統)하며 칼을 꽂고 신칙(申飭)한다. 팔로(八路)를 통하였고 연경(燕京) 일본 닿았구나. ---------- * 숭례문(崇禮門): 한성(漢城)의 정남쪽 성문. * 흥인문(興仁門): 흥인지문(興仁之門). 한성의 정동쪽 성문. * 소의문(昭義門): 사소문의 하나로 숭례문과 돈의문 사이의 문. * 창의문(彰義門): 한성의 서북쪽에 있는 사소문의 하나. * 호군부장(護軍部長): 오위(五衛) 소속의 정사품 관직.

한양가(한산거사) - 3.관아 _ 카.교육기관

3. 관아 카. 교육기관 사학(四學)이 분배(分排)하여 유학(儒學)을 교훈하니 명륜당(明倫堂) 대성전(大成殿)은 우리나라 반궁(泮宮)이라. 일백 명 태학사(太學士)는 부자(夫子) 위패(位牌) 뫼셔 있고 행단(杏壇)의 늦은 춤은 연비여천(鳶飛戾天) 하는구나. 국가의 근본이요 초현(招賢)하는 도리로다. 존경각(尊經閣) 높은 집에 만권서(萬卷書) 쌓아 놓고 주송(晝誦) 야강(夜講)하니 성현(聖賢)의 풍도(風度)로다. 추로지향(鄒魯之鄕) 분명하고 정주지학(程朱之學) 장하도다. ---------- * 사학(四學): 한양의 중앙 및 동ㆍ서ㆍ남의 네 곳에 세운 교육 기관 * 명륜당(明倫堂): 성균관이나 향교에서 유학을 가르치던 장소. * 대성전(大成殿): 문묘 안에 공자의 위패를 모신 전각. * 반궁(泮宮): 성균관..

한양가(한산거사) - 3.관아 _ 차.그밖의 관아

3. 관아 차. 그밖의 관아 중추부(中樞府) 영판부(領判府)는 추밀사(樞密事) 되어 있고 홍문관(弘文館) 대제학(大提學)은 문장제술(文章製述) 문형(文衡)이요, 성균관(成均館) 대사성(大司成)은 국자선생(國子先生) 되어 있고 사간원(司諫院) 사헌부(司憲府)는 직언극간(直言極諫) 엄숙하다. 사시제향(四時祭享) 봉상시(奉常寺)며 우양고시(牛羊羔豕) 전생서(典牲署)며 어보(御寶)차지 상서원(尙瑞院)과 의대진배(衣帶進排) 상의원(尙衣院)과 수라백미(水刺白米) 사도시(司導寺)와 금은보패(金銀寶貝) 내탕고(內帑庫)며 기용병장(器用屛帳) 내수사(內需司)와 각색지속(各色紙屬) 장흥고(長興庫)와 채소공상(菜蔬供上) 사포서(司圃署)며 해물공상(海物供上) 사재감(司宰監)과 실과진배(實果進排) 장원서(掌苑署)와 등유진배(燈油..

한양가(한산거사) - 3.관아 _ 자.선혜청

3. 관아 자.선혜청 선혜청(宣惠廳)은 전곡부(錢穀府)라 춘추대동(春秋大同) 전세(田稅)들과 조운(漕運)배 강에 대고 각읍색리(各邑色吏) 호위(護衛)하여 말에 싣고 소에 싣고 큰 수레에 담뿍 실어 선(先) 머리는 들어오나 끝머리는 강에 있다. 풍등(豐登) 대유(大有) 하였으니 국가의 복조(福祚)로다. 십년지곡(十年之穀) 저축하니 진진상잉(陣陣相仍) 하였어라. ---------- * 전곡부(錢穀府): 돈과 곡식을 관리하던 부서. * 춘추대동(春秋大同): 봄가을로 받던 대동미와 대동목. * 조운(漕運): 배로 물건을 실어 나름. * 색리(色吏): 감영(監營)이나 군아(郡衙)의 아전. * 풍등(豐登): 농사지은 것이 썩 잘된 것을 이르는 말. * 진진상잉(陣陣相仍): 오래된 곡식이 곳집 속에 묵어 쌓임.

한양가(한산거사) - 3.관아 _ 아.장악원

3. 관아 아. 장악원 장악원(掌樂院) 협률랑(協律郞)은 습악(習樂)하기 일삼으니 이원제자(梨院弟子) 천여명(千餘名)이 무동(舞童) 악공(樂工) 되었어라. 제악(祭樂)의 긴 곡조는 신명(神明)이 오시는 듯 여민락(與民樂) 보허사(步虛詞)는 여민동락(與民同樂) 한이 없다. 포구락(抛毬樂) 북춤이며 학춤이며 몽금척(夢金尺)과 쟁강춤 배따라기 화려(華麗)도 거룩하다. 그 중의 처용무(處容舞)는 경주(慶州)에서 왔다 하네. 오색(五色)빛 운하의(雲霞衣)에 복두(幞頭)를 바로 쓰고 넓은 소매 긴 한삼(汗衫)을 곡조마다 나부낄 제 붉은 얼굴 봉(鳳)의 눈은 반쯤 웃는 모양이라. 천관(天官)이 하림(下臨)한가 보기에 신기하다. ---------- * 장악원(掌樂院):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 협률랑(協律..

한양가(한산거사) - 3.관아 _ 바.사복시

3. 관아 바. 사복시 사복(司僕)의 내승(內乘) 주부(主簿) 도제조(都提調)며 부제조(副提調)라. 거덜이며 견마부(牽馬夫)는 초립(草笠)에 넓은 갓끈 누런 사(紗) 더그레며 푸른 긴 옷 벙거지며 이마(理馬)와 마의(馬醫)들은 말에게는 백락(伯樂)이라. 백총마(白摠馬) 청총마(靑驄馬)며 오추마(烏騅馬) 자류마(紫騮馬)며 연사라 추마말(騶馬-)과 돈점총이(-點驄-) 어승마(御乘馬)라. 동서간(東西間) 너른 마구(馬廐) 계마천필(繫馬千匹) 하였구나. 문국부(問國富) 이마대(以馬對)라 천승지국(千乘之國) 장할시고. 하룻날 닷샛날은 내외구마(內外廐馬) 한데 모아 조마거동(調馬擧動) 할 적이면 한편에는 명금(鳴金)하고 한편에는 명고(鳴鼓)하며 말을 경계(驚戒) 하여 갈 제 노량이며 나는 품(品)은 행운유수(行雲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