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총람(운문)/풍물한양가

한양가(한산거사) - 4.상점 _ 마.그림가게

New-Mountain(새뫼) 2020. 10. 10. 11:13
728x90

4. 상점

 

마. 그림 가게

 

광통교(廣通橋) 아래 가게 각색 그림 걸렸구나.

보기 좋은 병풍차(屛風次)에 백자도(百子圖) 요지연(瑤池宴)과

곽분양(郭汾陽) 행낙도(行樂圖)며 강남금릉(江南金陵) 경직도(耕織圖)며

한가한 소상팔경(瀟湘八景) 산수(山水)도 기이하다

다락벽(-壁) 계견사호(鷄犬獅虎) 장지문[障子門] 어약용문(魚躍龍門)

해학반도(海鶴蟠桃) 십장생(十長生)과 벽장문차(壁欌門次) 매죽난국(梅竹蘭菊)

횡축(橫軸)을 볼작시면 구운몽(九雲夢) 성진(性眞)이가

팔선녀(八仙女) 희롱하여 투화성주(投花成珠) 하는 모양

주(周)나라 강태공(姜太公)이 궁팔십(窮八十) 노옹(老翁)으로

사립(紗笠)을 숙여 쓰고 곧은 낚시 물에 넣고

때 오기만 기다릴 제 주문왕(周文王) 착한 임금

어진 사람 얻으려고 손수 와서 보는 거동

한(漢)나라 상산사호(商山四皓) 갈건야복(葛巾野服) 도인(道人) 모양

네 늙은이 바둑 둘 제 제세안민(濟世安民) 경영(經營)이라.

남양(南陽)의 제갈공명(諸葛孔明) 초당(草堂)에 잠을 겨워

형익도(荊益圖) 걸어 놓고 평생을 아자지(我自知)라.

한 소열(漢昭烈) 유황숙(劉皇叔)이 삼고초려(三顧草廬) 하는 모양

진처사(晋處士) 도연명(陶淵明)은 오두미(五斗米) 마다하고

팽택령(彭澤令) 하직하고 무고송이(撫孤松而) 반환(盤桓)이라.

당학사(唐學士) 이태백(李太白)은 주사청루(酒肆靑樓) 취하여서

천자호래(天子呼來) 불상선(不上船)을 역력히 그렸으며

문에 붙일 신장(神將)들과 모대(帽帶)한 문비(門裨)들을

진채(眞彩) 먹여 그렸으니 화려하기 측량 없다.

 

 

----------

* 병풍차(屛風次): 병풍을 꾸밀 그림이나 글씨.

* 백자도(百子圖): 여러 사내아이가 노는 모습을 그린 그림.

* 곽분양(郭汾陽) 행락도(行樂圖): 당나라 무장이었던 곽자의(郭子儀)의 생일잔치 장면을 그린 그림.

* 강남금릉(江南金陵) 경직도(耕織圖): 금릉에서 밭 가는 그림. ‘금릉’은 중국의 남경(南京).

* 소상팔경(瀟湘八景): 소수(瀟水)와 상강(湘江)의 8가지 경치.

* 계견사호(鷄犬獅虎): 닭, 개, 사자, 호랑이.

* 장지문[障子門]: 지게문에 장지 짝을 덧들인 문.

* 어약용문(魚躍龍門): 뛰는 물고기와 하늘로 오르는 용.

* 해학반도(海鶴蟠桃): 바다를 배경으로 학과 복숭아를 그린 그림.

* 십장생(十長生): 죽지 않고 오래 산다는 열 가지. 해ㆍ산ㆍ물ㆍ돌ㆍ구름ㆍ소나무ㆍ불로초ㆍ거북ㆍ학ㆍ사슴.

* 매죽난국(梅竹蘭菊): 매화, 대나무, 난초, 국화

* 횡축(橫軸): 가로로 길게 꾸민 족자.

* 투화성주(投花成珠): 꽃을 던져 구슬을 만드는 모습.

* 궁팔십(窮八十): 강태공이 관직에 오르기까지 80년을 가난하게 살았다는 데서, 가난한 인생을 일컫는 말.

* 상산사호(商山四皓): 진(秦)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하여 상산에 숨어 살았던 네 명의 늙은 선비를 가리키는 말. 동원고에(東園公), 하황공(夏黃公), 용리선생(用里先生), 기리계(綺里季)

* 갈건야복(葛巾野服): 갈건과 베옷이라는 뜻으로, 은사(隱士)나 처사(處士)의 소박한 옷차림을 이르는 말.

* 제세안민(濟世安民):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함.

* 형익도(荊益圖): 중국의 형주와 익주의 지도. 제갈량이 초당에 걸어두었다고 함.

* 평생 아자지(我自知): 평생은 나 스스로가 아노라.

* 한 소열(漢昭烈) 유황숙(劉皇叔): 유비

* 삼고초려(三顧草廬): 유비가 제갈량을 세 번이나 방문하여 그를 군사(軍師)로 삼았다는 고사.

* 오두미(五斗米): 쌀 다섯 말. 적은 녹봉을 의미함.

* 무고송이(撫孤松而) 반환(盤桓): “소나무를 만지며 서성이노니” -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

* 주사청루(酒肆靑樓): 기생집.

* 천자호래(天子呼來) 불상선(不上船): “천자가 불러도 배에 오르지 않으리라.” - 이백(李白)의 <양양가(襄陽歌)>

* 신장(神將): 귀신 가운데 무력을 맡은 장수신.

* 문비(門裨): 정월 초하룻날에 악귀를 쫓는 뜻으로 대문에 붙이는 신장(神將)의 그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