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餐松(찬송) ; 소나무를 양식 삼아
李忠翊(이충익, 1744~1816)
신영산 옮김
屑松拌飯粥 설송반반죽 솔가루를 섞어가며 밥 대신 죽 먹는데
數咽日再食 수연일재식 여러 번 씹으면서 하루 두 번 먹는다네.
餐少不療饑 찬소불료기 양식 적어 굶주림을 달래지 못하노니
松微未紓穀 송미미서곡 솔가루가 곡식을 대신할 수 없으리라.
四野無堅實 사야무견실 사방의 들녘에는 곡식 낱알 없었으니
糠籺扺金玉 강흘지금옥 쌀겨와 싸라기도 금옥과도 같았구나.
我時營升合 아시영승합 내 종종 한 되나 한 홉으로 살아가니.
白粲那忍獨 백찬나인독 흰 쌀밥이 있다 한들 어찌 혼자 먹으리오.
以此相間雜 이차상간잡 이렇듯이 솔가루가 사이사이 뒤섞이니
庶用稱藜藿 서용칭려곽 명아주 잎 콩잎이라 일컬을 수 있으리라.
素性安苦澁 소성안고삽 내 천성이 쓰고 떫음도 편안히 여겼으니
時義戒豊溽 시의계풍욕 마땅히 풍성하고 기름진 것 경계하노라.
飯粥詎能繼 반죽거능계 죽으로 먹는 것이 언제까지 이어질까.
井華攪一掬 정화교일국 새벽에 우물물을 한 번 움켜 뜨도다.
慙愧歲寒姿 참괴세한자 추워하는 이내 모습 몹시도 부끄러우니
日遭髡耏厄 일조곤내액 매일매일 형벌의 액운을 만남이라.
不自愛須鬣 부자애수렵 소나무가 제 몸을 아끼지 아니하고
施我塡肚腹 시아전두복 내 배를 양식으로 채워 주고 있었으니
臨風不能吟 임풍불능음 바람을 맞으면서 시 읊지는 못하더라도
兀兀千尋直 올올천심직 우뚝하게 천 길이나 곧게 서서 살아간다네.
728x90
'고전 풀어 읽기 > 한시,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안눌의 '동래부사로 부임하여 임란이 일어난 날을 상기하며(사월십오일)' (0) | 2022.07.16 |
---|---|
이색의 '누에 치는 아낙네(잠부)' (0) | 2022.07.14 |
이광정의 '아비의 원수를 갚은 어린 여자아이의 이야기(강상여자가)' (0) | 2022.07.07 |
이광려의 '군포를 감당해야 하는 홀어미(양정모)' (0)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