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풀어 읽기/한문산문

허균의 '소인론(小人論)'

New-Mountain(새뫼) 2018. 3. 28. 14:05
728x90

소인론(小人論)

허균(許筠)

 


요즈음 나라에는 소인(小人)도 없으니 또한 군자(君子)도 없다.

소인이 없다면 나라의 다행이지만 만약 군자가 없다면 어떻게 나라일 수 있겠는가? 절대로 그렇지는 않다. 군자가 없기 때문에 역시 소인도 없는 것이다. 만약 나라에 군자가 있다면 소인들이 그들의 형적(形迹)을 감히 숨기지 못한다.

 

方今國家无小人焉亦无君子焉

无小人則國之幸也若无君子則何能國乎否否不然无君子故亦无小人焉向使國有君子則小人不敢掩其跡也

 

대저 군자와 소인은 음()과 양(), 낮과 밤 같아서 음()이 있으면 반드시 양()이 있고 낮이 있으면 반드시 밤이 있으니, 군자가 있다면 반드시 소인도 있다. 순 때에도 역시 그랬는데 하물며 뒷세상에서랴.

 

夫君子小人如陰陽晝夜有陰則必有陽有晝則必有夜有君子則必有小人在唐虞亦然矧後世乎

 

대개 군자라면 바르고 소인이라면 간사하며, 군자라면 옳고 소인이라면 그르며, 군자라면 공변되고 소인이라면 사심(私心)을 지녔으니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사정(邪正)시비(是非)공사(公私)의 판단으로써 살핀다면 저들 소인들이 어떻게 감히 그들의 실정(實情)을 숨길 것인가?

 

蓋君子則正小人則邪君子則是小人則非君子則公小人則私在上者以邪正是非公私之辨而察之則彼小人者烏敢遁其情哉

 

요즈음의 이른바 군자소인이란 서로 간에 큰 동떨어짐이 없다. 자기들과 뜻을 같이하면 모두 군자로 여기고, 달리하면 모두 소인으로 여긴다. 저편이 이쪽과 다르다면 배척하여 사()하다 여기고, 이편과 같이 뜻하는 사람이라면 치켜세워 정()이라 여긴다. ()란 그들이 옳다고 여기는 것이 시이고, ()란 그들이 그르다고 여기는 것이 비이니, 이건 모두 공()이 사()를 이길 수 없는 이유로 그런 것이다.

 

方今之所謂君子小人无大相遠者而同則皆爲君子異則皆爲小人彼異則斥以爲邪此同則推以爲正是者是其所是非者非其所非此皆由公不能勝私而然也

 

진실로 대인 군자(大人君子)로서 학행(學行)과 재식(才識)이 한 시대의 대표되는 사람으로 하여금 나와서 높은 지위에 있도록 하여, 모든 관료들을 권장해 주고, 신분 높은 대부(大夫)들로 하여금 모두 바름을 지키고 공()에 봉사하며 시비(是非)의 분별을 밝힐 줄 알게 해 준다면, 한 시대의 음흉한 붕당 떼거리들이 장차 면모를 개혁하는데 시일이 걸리지 않으리라. 어떻게 감히 사분오열(四分五裂)하여 함부로 날뛰는 짓을 요즘같이 하겠는가? 그렇다면 음흉한 붕당 떼거리들의 해로움은 소인들이 국권을 전횡함보다 심한 것이 분명하다.

 

誠使大人君子學行才識爲一時表率者出而在上位以風勵具僚使薦紳大夫皆知其守正奉公明是非之分一時淫朋將革面之不暇安敢四分五裂恣其跳梁如近日乎然則淫朋之害有甚於小人之專朝也較矣

 

나라에서 소인들을 미워하는 것은 그들이 나라를 병들게 하고 백성들을 해롭게 하는 것을 미워해서이다. 오늘날 나라에 해를 끼치고 백성을 병들게 하는 것은 권간(權奸)-1이 국정을 쥐지 않고도 이처럼 극도에 이르렀음은, 모두 사의(私意)가 크게 행해져서 권한이 한 곳에서 나오지 않고, 기강(紀綱)이 이미 무너져 다시는 진작시킬 수 없는 때문이다.

 

國之惡小人者惡其病國而害民也今則害于國而病乎民者不待權奸之秉政而若此之極是皆私意大行權不出於一而紀綱已壞不可復振之故也

 

이른바 권간(權奸)이라는 자들도 있었다. 김안로(金安老)가 일찍이 농간을 피웠고, 윤원형(尹元衡)도 일찍이 전권을 휘둘렀다 요즘에는 최영경(崔永慶) 역시 전횡하고자 하여 자기 자신만을 이익되게 하고 자기와 뜻을 달리하는 사람들을 배척했음은 동일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나라의 기강에 있어서는 여전했었으니 이건 다름이 아니라 권한이 한 곳에서 나왔던 까닭으로, 전천(專擅)-2하던 사람이 물러가면 곧바로 예전대로 회복되었기 때문이다.

 

蓋所謂權奸者亦有之矣安老嘗弄之元衡嘗擅之近日永慶亦欲專之其自利而斥異己則同一揆也至於國之經紀則自若焉是无他權出於一故專擅之者絀則旋復其舊也

 

지금은 그렇지 않아 권한이 나오는 곳이 여러 군데이고, 자신만을 이롭게 하며 자기와 달리하는 사람을 배척하는 것은 사람마다 모두 그렇다. 그런 것을 물리치려고 한다면 이루 다 쫓아낼 수가 없고, 나라의 기강도 끝내 수습할 수가 없게 된다.

 

今則不然權之出者多門而自利而斥異己者人人皆是欲絀之則不可勝絀而國綱終无以收拾矣

 

오호라, 어떻게 하여야 소인들이 국권을 전횡하게 했다가, 그들이 세력을 펼치지 못할 때 공격하여 제거할 수 있을까? 또 어떻게 하여야 대인 군자(大人君子)가 나와서, 풍동(風動)-3하여 그처럼 음흉한 붕당(朋黨)들을 해산시킬 수가 있을까?

때문에,

지금의 국가에는 소인도 없으니 또한 군자도 없다.”

하였다.

 

嗚呼安得小人者俾專國枋及其未張而擊去之耶亦安得大人君子者出而風之以散其淫朋耶

故曰方今國家无小人亦无君子也

 

또 하나를 말해보면, 옛날의 이른바 소인이라던 자들은 그들의 학문은 그들의 변설(辯說)을 돕기에 충분했으며, 그들의 행실은 세속을 속이기에 충분했었고, 그들의 재주도 사태의 변화에 적응하기에 충분하였다. 그러므로 그가 지위에 있는 동안에는 사람들이 그의 내심을 헤아리지 못했고, 충분하게 그가 하고 싶은 대로 행하였다.

 

抑有說焉古之所謂小人者其學足以濟其辨其行足以欺夫俗其才足以應乎變故其在位也人不測其中而足以行其所欲爲

 

그들이 군자와 다른 것은 오직 공()과 사()라는 아주 작은 차이지만 그들이 끼치는 화란은 오히려 참혹했으니, 하물며 재행(才行)과 학식(學識)도 없으면서 오직 좋은 벼슬만 탐내며 요직에만 기를 써서, 구차스러운 태도를 하는 사람들이 조정(朝廷)에 가득 찼다면, 그 화는 마침내 어떠한 정도이랴.

 

其與君子異者特公私一毫髮之差其禍猶慘況无才行學識而唯好官是饕逐逐於津要爲狗苟態者盈朝滿庭則其禍終如何耶

 

그러므로,

음흉한 붕당의 해는 소인이 조정을 전횡하는 것보다 심하다는 것이 분명하다.”

했었다.

故曰淫朋之害有甚於小人之專朝也較矣



1) 권력과 세력을 가진 간사한 신하.

2) 오로지 혼자서 결단하여 행함.

3) 바람이 무엇을 움직임.

728x90

'고전 풀어 읽기 > 한문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약용의 한문논설 '기예론'  (0) 2018.03.29
허균의 '후록론(厚祿論)'  (0) 2018.03.28
허균의 '정론(政論)'  (0) 2018.03.28
허균의 '관론(官論)'  (0) 2018.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