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무의 '선귤당농서(蟬橘堂濃笑)' _ 19~31 원문과 풀이 19. 술 마시고 글 외우고 칼로 연적을 두드리다20. 봄비에 풀이 돋고 가을 서리에 잎이 지니21. 세상에 대해 분노하고 괴로워하거니22. 저녁 서쪽 구름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며23. 돈을 아끼는 선비와 글을 읽는 장사치24. 세상 물정 모르는 어리석은 이덕무야!25. 세상을 등진 내 삶이 멋지다고 하니26. 소홀히 생각하면 환난을 못 막거니27. 동이를 묻어놓고 물고기를 기르면서28. 좋은 벗과 오래 못하는 안타까움이여29. 집안이 편안해지면 한적하게 글을 쓰리라30. 공명으로 글을 읽느니 거간꾼이 되어라31. 마음에 맞는 벗은 드물기만 하였으니 고전 풀어 읽기/한문산문 09:24:39
기녀 설죽의 한시 '봉송심처녀귀외조황부원군적소' 원문과 풀이 奉送沈處女歸外祖黃府院君適所(봉송심처녀귀외조황부원군적소); 심처녀가 외조부 황부원군이 유배지로 떠남을 전송하며 고전총람(운문)/기녀 한시 2025.07.15
이덕무의 '선귤당농서(蟬橘堂濃笑)' _ 12~18 원문과 풀이 12. 내 평생의 즐거움은 글을 읽고 평한 것이라13. 차라리 말을 하지 않는 것이 더 나으리라14. 봄이면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리라15. 바둑도 거문고도 시도 술도 즐기지 않아도16. 나를 알아주는 벗을 그림으로 그려두고17. 좀벌레가 향기 나는 글자만 갉아 먹다18. 삼월의 냇가에서 상쾌하게 살아가거니 고전 풀어 읽기/한문산문 2025.07.15
이황의 한시 '보자계상 유산지서당(步自溪上 踰山至書堂)' 원문과 풀이 * 步自溪上 踰山至書堂 (보자계상 유산지서당) - 李福弘 德弘 琴悌筍 輩從之 (이복홍 덕홍 금제순 배종지); 시냇가로부터 걸어 산을 넘어 서당에 이르다 - 이복홍, 덕홍, 금제순 무리가 따랐다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