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식의 한시 '제야 이란산잔설야고촉이향인분운' 원문과 풀이 除夜, 以亂山殘雪夜孤燭異鄕人分韻, 作十絶句. 제야 이란산잔설야고촉이향인분운 작십절구 제야(除夜)에 난산잔설야 고촉이향인(亂山殘雪夜 孤燭異鄕人)의 운을 나누어서 절구 열 수를 짓다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1.28
이항복의 한시(8) - 산에서 즐기다 6수 * 伽倻山中作(가야산중작) ; 가야산 가운데서 짓다 * 春日春遊(춘일춘유) ; 봄날의 봄놀이 * 加平郡 虎巖洞(가평군 호암동) ; 가평군의 호암동에서 짓다 * 寄宿村家頗靜寂可愛(기숙촌가파정적가애) ; 시골집에서 머무는데 썩 고요하여 좋았다네 * 秋日(추일) ; 가을날에 * 題林家亭(제림가정) ; 숲속에 있는 집의 정자에서 쓰다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1.27
이항복의 한시(7) - 비를 노래하다 4수 * 江閣觀雨(강각관우) ; 강가의 누각에서 비를 구경하다 * 雨中(우중) ; 비 내리는 가운데 * 雨後觀上界瀑布(우후관 상계 폭포) ; 비 온 뒤에 상계(上界)의 폭포를 구경하다 * 雨霽(우재) ; 비가 개다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1.26
이항복의 한시(6) - 삶의 아픔으로 4수 * 病後曉起(병후효기) ; 앓은 뒤 새벽에 일어나 * 雨中偶吟(우중우음) ; 비 내리는 가운데 * 對雨偶吟(대우우음) ; 비를 마주해 뜻밖에 읊어 * 壬辰六月 扈駕西幸 途中作 (임진유월 호가서행 도중작) ; 임진년 유월에 서쪽으로 떠나가는 어가를 호종하면서 도중에 짓다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1.23
이항복의 한시(5) - 그윽하게 앉아서 4수 * 坐夜(좌야) ; 밤에 앉아서 * 夜坐(야좌) ; 밤에 앉아서 * 雪後(설후) ; 눈 온 뒤에 짓다 * 述懷(술회) ; 회포를 적다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1.22
이항복의 한시(4) - 절에 머물며 3수 * 福泉寺東臺題僧軸(복천사동대제승축) ; 복천사 동대에서 승축에 짓다 * 宿香林僧舍 夢見友人 覺而賦之 (숙향림승사 몽견우인 교이부지) ; 향림사의 절집에서 자다가, 꿈에 벗을 만나고 잠이 깨어 짓다 * 重遊僧伽寺(중유승가사) ; 승가사에서 거듭 노닐다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