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해의 한시(17) - 눈 내리는 날에 3수 1. 雪夜看畵有感(설야간화유감) ; 눈 오는 밤을 그린 그림을 보고 2. 雪曉(설효) ; 눈 내리는 새벽에 3. 雪後漫唫(설후만금) ; 눈 그친 후에 한가하게 읊다 고전총람(운문)/만해 한시 2025.03.19
만해의 한시(16) - 물가에서 살기 4수 1. 寒寂 二首(한적 이수) ; 고요하고도 외로우니 2. 漁笛(어적) ; 어부의 피리 소리 3. 龜巖瀑(귀암폭) ; 귀암폭포 4. 巴陵漁父棹歌(파릉어부도가) ; 파릉 고기잡이의 뱃노래 고전총람(운문)/만해 한시 2025.03.19
이황의 '도산잡영 십팔절(陶山雜詠 十八絶)' 13수~18수 13. 天雲臺(천운대) 14. 濯纓潭(탁영담) 15. 盤陀石(반타석) 16. 東翠屛山(동취병산) 17. 西翠屛山(서취병산) 18. 芙蓉峯(부용봉)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3.18
만해의 한시(15) - 산에서 살기 7수 1. 曉景 三首(효경 삼수) ; 새벽 경치 2. 山家逸興(산가일흥) ; 산골 집 흥취 3. 閑唫(한금) ; 한가하게 읊노니 4. 山家曉日(산가효일) ; 산골 집의 새벽 5.山晝(산주) ; 한낮의 산에서 6. 卽事(즉사) ; 그저 읊다 7. 淸唫(청음) ; 맑음을 읊다 고전총람(운문)/만해 한시 2025.03.17
이황의 '도산잡영 십팔절(陶山雜詠 十八絶)' 7수~12수 7. 隴雲精舍(농운정사) 8. 觀瀾軒(관란헌) 9. 時習齋(시습재) 10. 止宿寮(지숙료) 11. 谷口巖(곡구암) 12. 天淵臺(천연대) 고전 풀어 읽기/한시,부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