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주해) 구 운 몽 /김만중 샹 천하 명산이 다셧시 잇스니 동의는 동악 태산이오 셔의는 셔악 화산이오 남의는 남악 형산이오 북의는 북악 항산이오 가온대난 즁악 슝샨니라. 오악 듕의 오직 형산 가쟝 즁국의 멀어 구의샨이 그 남긔 잇고 동졍강이 그 북의 잇고 소샹강물이 그 샴면의 둘너.. 고전 풀어 읽기/국문소설,판소리 2015.04.03
(민속극) '꼭두각시놀음' 대본 전문 꼭두각시 놀음 대본 ◈ 제1마당: 박첨지 마당 첫째, 박첨지 유람 거리 대잡이: (안에서) 어허허 아헤헤. 산받이: 어허허 아헤헤. 박첨지: (唱) 떼이루 떼이루 띠어라 따 떼이루 떼이루 떼아루 야하. 산받이: (唱) 떼이루 떼이루 띠어라 따 떼이루 떼이루 떼아루 야하. 박첨지: 떼이루 떼이루 떼.. 고전 풀어 읽기/구비문학 2015.03.31
동명왕신화(삼국유사) 삼국유사 제1권 기이 제1 고구려는 곧 졸본부여(卒本扶餘)이다. 혹은 지금의 화주(和州) 또는 성주(成州)라고 하나 모두 잘못된 것이다. 졸본주는 요동 경계에 있었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서는 이러한 내용의 글이 실려 있다. 시조 동명성제(東明聖帝)의 성은 고씨(高氏)이고 이.. 고전 풀어 읽기/한문산문 2015.03.23
'최고운전' 전문 최고운전 신라 시대에 최충(崔沖)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일찍이 등용문(登龍門)에 올랐으나, 벼슬길이 순탄치 못하더니 이번에 문창령(文昌令)이란 벼슬을 제수받고 심히 근심하는지라. 그의 아내가 묻되, “다행히 벼슬을 제수받았음은 경사이온데 어이하여 군자(君子)께서는 슬퍼.. 고전 풀어 읽기/국문소설,판소리 2015.03.18
'홍계월전' 전문 홍계월전(洪桂月傳) 각설. 대명(大明) 성화(成化)년간에 형주(荊州) 구계촌(九桂村)에 한 사람이 있으되, 성은 홍(洪)이요 명은 무(武)라. 세대 명문 거족으로 소년 급제하야 벼슬이 이부시랑(吏部侍郞)에 있어 충효 강직하니, 천자 사랑하사 국사를 의논하시니, 만조백관이 다 시기하야 모.. 고전 풀어 읽기/국문소설,판소리 2015.03.12
정선아리랑(긴아라리)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 고개로 나를 넘겨 주게 간다지 못간다지 얼마나 울었나 송정암 나루터가 한강수 되었오 개구장가에 포름포름에 날 가자구 하더니 온 산천이 어우러져도 날 가자구 안하네 그대 당신을 사모하다가 골수에 든 병 화타 편작이 치료한들 일어날 수 있나 금도 싫고 은도 싫고 문전옥답(門前沃畓) 내 다 싫어 만주벌판 신경(新京) 뜰을 우리 조선(朝鮮)주게 꼬치밭 한 골을 못 매는 저 여자가 이마 눈썹은 여덟 팔(八)자로 잘 가꾸네 꽃 본 나비야 물본 기러기 탐화봉접(探花蜂蝶) 아니냐 나비가 꽃을 보고서 그냥 갈 수 있나 나비 없는 강산에 꽃은 피여 멋하며 당신 없는 요 세상 단장하여 멋하나 날 따라오게 날 따라오게 날만 따라오게 잔솔밭 한중허리로 날 따라오게 내가야 왔다가 간 뒤에 도랑.. 고전 풀어 읽기/구비문학 201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