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극) '강령탈춤' 대본 전문 강령탈춤 제1과장 사자: (타령, 굿거리장단에 맞추어서 깨끼리춤과 굿거리춤을 한참 추다가 퇴장한다.) 제2과장 원숭이: (타령, 굿거리장단에 맞추어서 깨끼리춤과 굿거리춤을 한참 추다가 퇴장한다.) 제3과장 말뚝이Ⅰ·Ⅱ: (Ⅰ은 상수 Ⅱ는 하수에서 각각 양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달음질.. 고전 풀어 읽기/구비문학 2018.11.08
(민속극) '봉산탈춤' 대본 전문 봉산탈춤 제1과장 상좌 넷이 등장. 모두 흰 장삼을 입고 붉은 가사를 들쳐 입고 꼬깔을 썼다. 등장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즉, 먹중 하나가 상좌 하나를 업고 달음질로 입장하여 가지고 타령곡에 맞추어 춤추며 장내를 한 바퀴 돌고 나서 상좌를 적당한 곳에 내려놓고 퇴장한다. 그런 뒤 다.. 고전 풀어 읽기/구비문학 2018.11.07
(민속극) '송파산대놀이' 대본 전문 송파산대놀이 길굿 -거리굿, 길놀이- 송파장을 중심으로 마을을 한 바퀴 돌아오는 길굿은 맨앞에 백색 바탕에 붉은 지네발을 한 송파산대놀이의 용두기와 작은 영기 두 개를 들고 서고, 다음은 악사들로 쌍호적·징·장고잡이가 선다. 그 다음에 탈의상을 입은 연희자들이 탈춤 등장 순.. 고전 풀어 읽기/구비문학 2018.11.07
'바리데기' 전문 바리데기(바리공주) * 어비대왕 : 어비(魚鼻)는 무섭다는 말의 방언. * 바리공주 : 버린 공주라는 뜻. 옛날에 삼나라를 다스리는 어비대왕이란 임금이 있었다. 나라를 잘 다스렸는데, 정전이 비어 있는 것이 흠이었다. 여러 종실과 시신백관이 간택할 것을 아뢰었다. 대왕은 간택할 것을 허.. 고전 풀어 읽기/구비문학 2016.11.04
(민속극) '하회별신가면극' 대본 전문 하회별신가면극 구술: 당시 생존 연희자 채록: 유한상 제1과장 -강신- 음력 정월 초순 산주(山主) 성황당 주제자와 광대 연희자들이 성황당에 참열(參列)하여, 4·5丈되는 대에 오색포(五色布)를 느리고 꼭대기에 신령(神鈴)을 단 성황대와 2·3丈 길이의 대에 오색포 강시를 느린 정주대를 .. 고전 풀어 읽기/구비문학 2016.09.12
(민속극) '양주별산대놀이' 대본 전문 양주별산대놀이 구술 : 조종순 서막(序幕) - 고사 - 삼종(三種) 과실·소머리·돼지다리 등을 놓고, 주상(酒床)도 있음. 연잎(蓮葉)과 눈끔쩍이가 중요한 자이기 때문에 가운데 둔다. 아무든지 나와서 고사하는 말은 다음과 같다. "각인각성(各人各姓) 열에 열명이 다니시드래도 뉘도 탈도 .. 고전 풀어 읽기/구비문학 2016.09.12
(민속극) '꼭두각시놀음' 대본 전문 꼭두각시 놀음 대본 ◈ 제1마당: 박첨지 마당 첫째, 박첨지 유람 거리 대잡이: (안에서) 어허허 아헤헤. 산받이: 어허허 아헤헤. 박첨지: (唱) 떼이루 떼이루 띠어라 따 떼이루 떼이루 떼아루 야하. 산받이: (唱) 떼이루 떼이루 띠어라 따 떼이루 떼이루 떼아루 야하. 박첨지: 떼이루 떼이루 떼.. 고전 풀어 읽기/구비문학 2015.03.31
정선아리랑(긴아라리)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 고개로 나를 넘겨 주게 간다지 못간다지 얼마나 울었나 송정암 나루터가 한강수 되었오 개구장가에 포름포름에 날 가자구 하더니 온 산천이 어우러져도 날 가자구 안하네 그대 당신을 사모하다가 골수에 든 병 화타 편작이 치료한들 일어날 수 있나 금도 싫고 은도 싫고 문전옥답(門前沃畓) 내 다 싫어 만주벌판 신경(新京) 뜰을 우리 조선(朝鮮)주게 꼬치밭 한 골을 못 매는 저 여자가 이마 눈썹은 여덟 팔(八)자로 잘 가꾸네 꽃 본 나비야 물본 기러기 탐화봉접(探花蜂蝶) 아니냐 나비가 꽃을 보고서 그냥 갈 수 있나 나비 없는 강산에 꽃은 피여 멋하며 당신 없는 요 세상 단장하여 멋하나 날 따라오게 날 따라오게 날만 따라오게 잔솔밭 한중허리로 날 따라오게 내가야 왔다가 간 뒤에 도랑.. 고전 풀어 읽기/구비문학 201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