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풀어 읽기/한문산문

이건창의 '答友人論作文書(친구에게 작문을 논하는 글을 답함)'

New-Mountain(새뫼) 2018. 3. 28. 10:05
728x90

答友人論作文書(답우인논작문서)

친구에게 작문을 논하는 글을 답함

이건창(李建昌)

 


작문에 관한 일을 물으면서 그 비법에 대해 알려 줄 것을 요구하는데, 제가 어떻게 그 대답을 하는 것이 마땅할까요. 조심스럽게 말하기를 저는 그러한 요구를 들을 수 없다고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저의 능력에 관해서는 형이 모두 잘 알고 있지 않습니까. 종전에 형과 더불어 이 일에 이야기 하면서 무엇을 얻었습니까.

 

承詢作文事要以秘法相示弟宜如何對宜謹辭曰愚不敢聞命夫弟之愚否自兄所嘗悉從前與兄道此事云何何得卒以愚辭

 

결국 제가 한 말은 방자했습니다. 마땅히 올바로 말한다면 작문하는데 어지 비법이 있겠습니까. 많이 읽고 많이 지을 따름입니다. 대개 많이 읽고 많이 지어 보는 것은 옛날에 글을 지었던 자도 그렇게 하지 않음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지금 글을 지어 보고자 하는 자도 그것을 모르는 사람이 없는데, 제의 방자한 말을 들을 필요가 있겠습니까.

 

是慢也宜以正告曰作文豈有秘法多讀書多作而已夫多讀書多作古爲文者無不然也卽今有志於此者無不知其然也何俟弟言是亦慢也

 

형이 육백 리 밖에 있으면서 이것만으로 사람을 시켜 이와 같이 물으니 그 부지런하고 지극함에 제가 방자한 말로 방자하게 대답하게 되면 모두 편치 않을 것 같아 제가 일찍 글을 지을 때 괴롭고 어려웠던 것을 형을 위해 모두 털어 놓겠습니다. 현명한 형에게 조금도 도움이 될 것이 없을 듯하나 형의 부지런하고 지극한 정성을 저버리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兄在六百里外專使相問如此其勤且至而弟以慢辭或以慢對均不可無寧以弟所嘗困苦艱難於爲文者爲兄悉暴之雖不足以裨益於高明而庶以盡吾之情以不負兄之勤且至則可矣

 

무릇 글을 지을 때 먼저 구상을 해야 하며 뜻을 구상하는 데는 앞과 뒤가 있어야 하며, 문장을 구성하는 데도 넓게 또는 좁게 하는 것이 있어야 합니다. 앞과 뒤와 구성상의 문제가 대략 생각되고 선택되면 빨리 쓰되 전후 연결과 의미가 상통하게 하고 쉽게 알 수 있게 해야 하며, 조사 등과 같이 긴요하지 않은 글자와 속된 말이나 이어(俚語)들은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은 것입니다. 그것은 바른 의미와 하고자 하는 말이 실리지 않을까 염려되기 때문입니다.

 

凡爲文必先搆意意有首尾有間架首尾粗具間架粗當卽疾筆寫之但令聯屬相貫通了了易曉不暇用語助等閑字不暇避俗俚語恐亡失正意所欲言者不載也

 

구상이 확실하게 된 후에 말을 가다듬는데, 무릇 수사라는 것은 아름답고 깨끗하고 정밀하게 할 따름입니다. 앞의 한 구를 수사할 때는 뒤 구절을 생각하지 말 것이며, 앞의 한 글자를 생각할 때는 아래의 글자를 생각할 것이 없습니다. 비록 많은 내용을 담은 긴 글이라 할지라도 한 글자마다 선택하는 데 신중히 하기를 짧은 율시를 지을 때와 같이 해야 할 것입니다.

 

意立然後修其辭凡修辭者欲諸美潔精而已修前一句勿思後一句修上一字勿思下一字雖爲千萬言之文其兢兢乎一字如爲小律詩

 

무릇 문장에는 쌍행과 단행이 있으며, 넉 자 또는 석 자로 구를 이루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사를 할 때 쌍행을 마땅히 선택해야 할 곳에 단행을 해서는 안 되며, 단행을 선택해야 할 때 쌍행을 선택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넉 자와 석 자 및 다섯 자도 그 선택할 때 역시 이와 같아야 할 것입니다.

 

然凡辭有雙行有單行有四字成句有三五字成句修之宜先擇之雙之不可以單猶單之不可以雙四與三五亦如之

 

내용면에서는 옛 사람의 의견을 가져와서 할 때도 있겠고, 뜻을 자신이 만들어 할 때도 있을 것입니다. 옛 사람의 의견을 가져 와서 할 대는 그 말을 어렵게 만들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처음 보는 것처럼 하지 말 것이며, 자신이 뜻을 만들었을 경우에는 그 말을 쉽게 하여 보는 사람으로 의혹이 없게 할 것입니다. 옛 사람의 뜻과 아울러 그 말까지 취하고자 할 것 같으면 반드시 옛 사람과 옛 책의 이름을 밝혀 내가 한 말과 뒤섞이게 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하지 아니하면 진부하고 표절한 것이 됩니다.

 

凡辭有取古人之意而爲者有造意而爲者取古人之意而爲者欲難其辭使人如未始見也造意而爲者欲易其辭使人無惑也取古人之意而幷取其辭者必書古人古書名以別之勿使亂吾辭不則爲陳腐爲剽竊

 

내용을 구상할 때는 반드시 주의(主意)를 선택해야 하고 상대가 되는 뜻 즉 적의(敵意)도 있어야 합니다. 주의를 중심으로 글을 짓되, 별도로 적의로써 한 글을 하여 그것으로 이것을 공격하는데, 주의는 갑옷이 되게 하고, 적의는 칼이 되게 하여 갑옷이 단단하면 칼이 스스로 망가지게 되는데, 여러 번 공격하다가 여러 번 망가지게 되면 주의가 이긴 것이므로 바로 적의를 모아 들어오게 하여 주의를 더욱 높게 밝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혹 이기기도 하고 지기도 하며, 또 승패가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이면 족히 글이 되지 못할 것이니 주의와 아울러 버려야 할 것입니다.

 

凡搆意亦宜先擇之有主意必有敵意將以主意爲文宜別用敵意爲一文以彼攻此主意如鎧敵意如兵鎧堅者兵自折累攻屢折則主意勝也卽收敵意俘繫而入之使主意益尊以明如或勝或敗或勝敗無甚相遠者皆不足以爲文卽幷主意棄之

 

뜻이 확립되고 수사가 되었으면 글이 끝난 것이라 할 수 있겠는데, 또 뜻과 말을 모아 그 양을 서로 비교해 문제가 있는가 보아서 긴 것은 짧게 짧은 것은 길게 하며, 소루(疏漏)한 것은 주밀(周密)하게, 주밀한 것은 소루하게 하고, 느슨한 것은 급하게, 급한 것은 느슨하게, 나타난 것은 어둡게, 어두운 것은 나타나게, ()한 것은 실()하게, 실한 것은 허하게 하며, 머리는 꼬리를, 꼬리는 머리를 서로 돌아보고 바라보게 하며, 앞에서는 뒤를 부르고 뒤에서는 앞의 부름에 응해야 합니다.

 

意立辭修則文可畢矣而又取意與辭而稱量比絜之以有事焉於是長者短之短者長之疎者密之密者疎之緩者促之促者緩之顯者晦之晦者顯之虛者實之實者虛之首顧尾尾瞻首前呼後後應前

 

그리고 혹은 놓아주고 잡기도 하며, 또 헤아려 보기도 꺾어 보기도 하며, 맺어보기도 바르게 해보기도 해야 하기 때문에 그 복잡한 것을 한 가지로 말하기 어려운데, 분명하게 가지가 나지 않게 해야 하며, 알맞게 상당(相當)하게 해야 합니다. 말이 뜻에 합당해야 하며, 뜻도 말에 합당해야 합니다. 말이 뜻에 합당하지 않으면 그 말이 비록 교묘하다 할지라도 못쓰게 되며, 뜻이 말에 합당하지 않으면 비록 정비가 잘 되었다 할지라도 어지러워지게 됩니다.

 

或縱或擒或揣或挫或結或理紛紜乎其不可壹槩也瞭乎其不可歧也適乎其相當也以辭當意以意當辭辭不當意則雖巧可使拙也意不當辭則雖整可使亂也

 

거칠어 못쓰게 된 것은 더욱 다듬어야 하고, 어지럽게 된 것은 더욱 가다듬어야 합니다. 각 구절마다 공교롭게 하고자 하면 반드시 뜻에 해를 끼치게 되고, 말마다 모두 바르게 하고자 하면 반드시 구절에 누가 될 것입니다. 구절과 뜻이 서로 치유되지 않은 것이 합당한 것이 되며, 합당한 것이 법이 되는데 법이 정해지면 그 글은 끝난 것입니다. 그러나 어찌 스스로 좋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拙之然後逾工亂之然後逾整句句而皆工者必害於意言言而皆正者必累於辭辭與意不相瘉之爲當當之爲法法定而文斯可畢矣然又惡可以自是哉

 

이러한 과정을 거쳐 쓰인 글을 상자 속에 넣어 두고 보지도 말고, 또 그 글을 쓰는 과정에 생각했던 것을 가슴에서 완전히 씻어 마음에 생각이 되지 않게 하며, 하루 밤 혹은 이삼일이 지난 후 다시 내어 보되 이 글에 대한 나의 애정을 완전히 버리고 다른 사람의 글을 보는 것과 같이 하여 다시 보면 좋은 것은 바로 그 좋은 것이 보일 것이고, 좋지 않은 것은 바로 그 좋지 않은 점이 보일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좋지 않은 것이 발견되면 버리기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姑投而納之於篋不以接於目也又滌刮驅祛之於胸不以往來於中也或一宿或再三宿而起復取而觀之使吾愛戀此文之情弛而後視之如人之文則是者立見其是非者立見其非矣非則不難棄之

 

그리고 그 좋은 것에 대해서는 옛날 사람들의 글 즉, 당송이나 혹 근세의 유명했던 작가들의 글을 취해 내 글과 같이 뒤섞어 읽어 내가 나의 글을 귀중하게 여기는 마음을 생기게 한 후에 옛 사람들의 글로써 비교해 보면 합당한 것은 바로 그 합당한 것을 발견할 수 있고, 합당하지 않은 것은 즉시 그 합당하지 않은 것은 버리는데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내가 생각해 보아도 좋고, 또 옛 사람들의 글과 비교해 보아 합치된 점이 있을 때 그 글에 대한 내 일이 끝난 것입니다.

 

如其是也則又取古人之文或唐或宋或近世名家之作與吾文雜而讀之使吾貴重吾文之心生而後律之以古人之文則合者立見其合不合者立見其不合不合則又不難竟棄之必惟可以自是而且有以合於古人然後吾之事畢矣

 

무릇 글을 지을 때 생각하는 것이 어려움이 될 분만 아니라, 생각하고 쓸 때의 어려움과 여러 번 옮겨 쓰고 여러 번 반복해서 읽는 것도 어렵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될 것입니다. 그리고 옮겨 쓸 때 반드시 정밀하고 가깝게 해야 하고, 밝은 종이에 해자(楷字)로 쓸 것이며, 구두점(句讀點)은 주묵(朱墨)으로 하여 증감하고 바꾸어야 할 점을 쉽게 알 수 있게 하여 현혹되게 하지 말 것입니다.

 

故凡爲文非惟思之難思而記之勿忘失之爲難累寫累讀之又難凡寫文必精必夾影紙作楷字必用朱墨點句讀欲令增减竄易處覽之不眩

 

글을 읽을 때는 반드시 천천히 읽어 생각해 보아야 할 곳을 찾아보고 여러 번 반복해서 씹고 삶고 단련하며 끌어들이고 떨어뜨려 보고 흔들고 끌어보아야 하며, 높고 낮게 굽히고 꺾어 선회를 여러 번 반복해 음향이 마디가 있어야 합니다. 보아도 분명하지 않고 음향의 마디가 없으면 옮겨 쓰고 읽을 때 좋지 않을 것입니다. 옮겨 쓰고 읽을 때 좋으면서도 마디가 없는 것은 글이 하자가 있는 것이니 반드시 빨리 고쳐야 할 것입니다. 무릇 글을 지을 때 열 번 옮겨 쓰고 열 번 읽어보아 하자가 발견되지 않을 때 끝난 것입니다.

 

凡讀文必緩尋熟念咀之嘬之烹之鍊之引之墜之搖之曳之欲令抑揚曲折廻旋反覆響而有節覽之而眩響而無節寫與讀之不善也寫與讀善矣而猶且然者文之疵也必亟改之凡爲文必十寫十讀而不得其疵也然後止焉

 

이 세상은 넓고 후세는 멀리까지 계속됩니다. 그런데, 나의 글을 알아주는 사람은 적을 것이며, 설령 알아주는 사람이 있다 할지라도 서로 만나 상대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오직 내 마음으로 내 글을 증험해 볼 수밖에 없습니다. 내 마음에서 발생하여 내 마음을 감동시키는데 흡족하지 않으면 그것은 매우 잘못 되었기 때문입니다.

 

夫天下廣矣後世遠矣其知吾文者鮮矣縱有知之者相値相待難矣惟吾心可與質吾文耳夫發於吾心感於吾心而猶不愜於吾心則是甚可憾也

 

나는 오직 내 마음에 흡족한 것을 구할 것이지 어찌 천하와 후세에까지 구하겠습니까. 천하와 후세에 구하기도 부족한데 하물며 구구하게 일시의 칭찬까지 구할 수 있겠습니까. 대개 내 마음에 흡족하면 내 글에 대한 일은 끝난 것입니다. 그러나 나의 고되고 어려움은 이미 많았습니다.

 

吾惟吾心之愜是求安所蘄天下後世哉天下後世猶不足以蘄而况區區一時之譽哉夫惟吾心愜而吾文之事畢然吾之困苦艱難則已甚矣

 

내 글은 다른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반드시 세상과 가정에서까지 이해가 되지 못해 밖으로는 임금과 공경(公卿) 대부(大夫) 및 당시의 선비들로부터 괴이한 웃음소리가 될 것이고, 안으로는 집안사람들과 종들의 나무라는 바가 되어 밥을 보고도 입으로써 어떻게 먹어야 할지 모르게 되며, 갓옷의 옷고름으로 옷깃을 하게 되는 제와 같은 어리석은 사람이 된 후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내치고 쫓겨 실직되어 근심이 쌓이고 적막해 어찌하지 못하는 오늘날의 형과 같이 된 후에 가능해 질 것입니다.

 

且夫吾文非夫人之所能爲也必昧於世惽於家出爲君公大人與夫當時之士之所怪笑入爲家人婢子所譏當飯而不知口在挈裘之衿以爲領如弟之愚者然後可爲也不然放逐失職幽愁寂寞無所用志如兄之今日者然後可爲也

 

내가 이 일에 조금 성취가 있으면 다른 일은 모두 폐지하게 됩니다. 나의 모든 어려움과 곤란을 다 겪으면서 다른 일을 피하지 않으며, 모두 폐지하면서 근심하지 아니하고 온전히 여기에만 힘을 다하는 것도 또 가소로운 것입니다. 그런데, 저의 어리석은 소견은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는데, 만약 마음대로 지껄이고 의미대로 붓을 휘갈겨도 문장이 되는 것은 그 천재성이 천만 배나 사람에 지나서 그런 것이니, 이 어리석은 사람의 말할 바가 아닙니다.

 

盖此事粗有以成則他事盡廢夫殫吾之困苦艱難而不避他事盡廢而不恤專專乎此者是又可笑也然以弟之愚所見不出乎此若夫矢口肆筆動爲文章者此其天才過人千萬倍又非愚弟之所能言也

 

형의 고명함이 비록 정성스럽고 남달리 공명정대하다 할지라도 제한테 보여준 글을 자세히 살펴보면 위에서 말한 수사에 관한 내용에 이르지 못한 것이 있는 듯하니, 그것은 어찌 재주가 높고 성격이 넓어 뜻한 바대로 하게 되고 마음대로 줄 수 있는 것을 통쾌하게 생각해서 그런 것이 아니겠습니까.

 

兄之高明雖誠犖犖不羣然竊覵所示諸文其於上所云修辭定法之說若猶有未至者豈非以才高性坦隨意之所嚮而傾輸之以爲快所以然耶

 

형은 말하기를 위숙자(魏叔子)와 같은 무지와는 말할 가치가 없다고 하였는데, 옛 사람들의 이러한 말도 일리가 없는 바 아닙니다. 그러나 숙자가 이른바 많이 짓는 것이 많이 고치는 것만 못하고 많이 고치는 것이 많이 깎는 것만 못하다고 했으니, 이것은 참으로 옛 사람들로부터 전해오지 않은 비법입니다. 숙자의 이 말은 문장 공부하는데 매우 공이 있는 것인, 진실로 하루에 한 번 고치고 일 년에 약간 수씩 짓고, 또 약간 수에서 깎아 약간 수만 두어 이렇게 십년 동안 하면 가히 한 권이 될 것입니다.

 

兄謂魏叔子輩不足與議於古人此說誠然然叔子所云多作不如多改多改不如多刪是固古人所不傳之秘法而叔子言之甚有功於文章誠能一日一改一年得若干首又於若干首而刪而存之爲若干首如是十年則可一卷矣

 

이렇게 해서 한 권이 된 것을 다시 고치지 아니하고 다시 깎지 않는 글이 되면 내 마음에 흡족할 것입니다. 이 한 권으로 십 년의 세월과 바꾼 것이 비록 많은 노력에 비해 효과가 적다고 할지 모르겠으나, 이 십 년으로 천만세의 긴 세월을 도모한다고 생각하면 매우 후한 이익이 될 것인 즉 이것은 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誠能爲一卷不可復改不可復刪之文則吾心愜矣夫以一卷而易十年者雖勞而寡效以十年而圖千萬歲則甚厚利也則亦可以蘄矣

 

그런데, 이것은 비법입니다. 형이 육백 리의 먼 길에 온전히 이것으로 사람을 보내는 부지런한 것이 아니면 제가 어찌 감히 가볍게 말할 수 있겠습니까. 형이 살펴보기를 바랍니다.

 

然此秘法也非兄專使六百里之勤則弟不敢輕以相示望兄察之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