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啄木(탁목) ; 딱따구리
金時習(김시습, 1435~1493)
신영산 옮김
啄木啄木爾何窮 탁목탁목이하궁 딱따구리야, 딱따구리야. 네 얼마나 궁하기에
啄我庭樹聲丁東 탁아정수성정동 뜰안의 나무를 따따닥닥 소리내며 쪼는 것인가.
啄之不足恰恰鳴 탁지부족흡흡명 쪼는 것도 부족한지 호록호록 시끄러이 지저귀다
畏人避向深林中 외인피향심림중 사람들이 싫었는지 깊은 숲으로 날아갔도다.
林深山靜啄愈響 임심산정탁유향 깊은 숲 고요한 산속에서 요란스레 쪼아대니
慴幾槎牙枝上蟲 습기차아지상충 옹이 속과 가지 위의 벌레들이 얼마나 두려울까.
蠹多蟲老飽汝腹 두다충노포여복 좀벌레가 가득하니 네 배는 늘 부를 것이라.
爾於啄蠹多全功 이어탁두다전공 좀벌레를 쪼아대니 네 공이 크기만 하였구나.
世上蠹物害民者 세상두물해민자 세상에는 좀벌레 같은 무리 백성을 해치거니
千百其數無人攻 천백기수무인공 그 수가 수천에 수백이라 쫓는 이가 없었구나.
縱汝利觜除木災 종여이자제목재 날카로운 네 부리로 나무의 재앙을 없애듯이
人間蠹穴詎能空 인간두혈거능공 인간 세상 좀벌레도 어찌 능히 없앨 수 있으리오.
728x90
'고전 풀어 읽기 > 한시,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시습의 '산사람들의 괴로움을 읊다(영산가고 8수)' (0) | 2022.04.23 |
---|---|
조신의 '심원에서 원부의 말을 듣다(제심원)' (0) | 2022.04.22 |
윤현의 '영남에서의 탄식(영남탄)' (0) | 2022.04.20 |
이민성의 '보리타작 노래(타맥사)' (0) | 2022.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