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해의 한시(11) - 감옥에서 8수 1. 咏雁(영안이수) ; 기러기를 노래하다 2. 獄中感懷(옥중감회) ; 감옥에서의 느끼는 회포 3. 獄中吟(옥중음) ; 감옥에서 읊다 4. 寄學生(기학생) ; 어느 학생에게 부탁하며 5. 砧聲(침성) ; 다듬이 소리를 들으며 6. 贈別(증별) ; 감옥에서 이별하면서 7. 雪夜(설야) ; 눈 오는 밤에 8. 秋懷(추회) ; 가을의 회포 고전총람(운문)/만해 한시 2025.03.07
만해의 한시(10) - 옛시인의 운으로 4수 1. 讀 風雅朱用 東坡韻 賦梅花用 其韻賦梅花 (독 풍아주용 동파운 부매화용 기운부매화) ; 에서 주자가 동파의 운을 써서 매화를 읊은 것을 읽고, 그 운으로 매화를 읊다 2. 又 古人梅題下不作五古 余有好奇心試唫 (우 고인매제하불작오고 여유호기심시금) ; 또 옛사람들이 매화를 두고 오언고시를 쓴 일이 없기에 호기심으로 시험 삼아 읊어 보다 3. 春閨怨(춘규원) ; 봄철 규방의 한 4. 征婦怨(정부원) ; 출정 군인 아내의 한 고전총람(운문)/만해 한시 2025.03.05
만해의 한시(9) - 이국땅에서 9수 1. 宮島舟中(궁도주중) ; 미야지마로 가는 배 안에서 2. 馬關舟中(마관주중) ; 시모노세키로 가는 도중에 3. 日光道中(일광도중) ; 닛꼬 가는 길에 4. 日光南湖(일광남호) ; 닛코의 남쪽 호수 5. 獨窓風雨(독창풍우) ; 창가를 스치는 비바람 6. 東京旅館聽蟬(동경려관청선) ; 동경 여관에서 매미 소리를 듣고 7. 和智光伯-遺以詩文故答(화지광백 유이시문고답) ; 지광 스님에게 – 남긴 시문에 화답하여 8. 雨中獨唫(우중독금) ; 빗속에 홀로 노래하다 9. 增上寺(증상사) ; 증상사에서 고전총람(운문)/만해 한시 2025.03.03
만해의 한시(8) - 홀로 읊노니 8수 1. 獨唫(독금) ; 홀로 읊다 2. 卽事(즉사) ; 본대로 그저 읊다 3. 獨夜 二首(독야 이수) ; 홀로 있는 밤에 4. 獨坐(독좌) ; 홀로 앉아 5. 述懷(술회) ; 느낀 바를 읊다 6. 孤遊(고유) ; 홀로 거닐며 7. 卽事 二首(즉사 이수) ; 느끼는 대로 읊다 8. 自樂(자락) ; 스스로 즐기며 고전총람(운문)/만해 한시 2025.03.01
만해의 한시(7) - 벗에게 3수 1. 贈古友禪話(증고우선화) ; 옛 벗에게 주는 글 2. 贈宋淸巖(증송청암) ; 송청암에게 줌 3. 贈南亨祐(증남형우) ; 남형우에게 줌 고전총람(운문)/만해 한시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