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능행
마. 능행 행차
숭례문(崇禮門)밖 나오시니 계라차지(啓螺差知) 선전관(宣傳官)이
자주 걸어 기어 와서 취타(吹打)를 청한 후에
겸내취(兼內吹) 패두(牌頭) 불러 취타령(吹打令) 내려오니
겸내취 거동 보소, 초립(草笠)에 작우(雀羽) 꽂고
누런 철릭[天翼] 남전대(藍纏帶)에 명금삼성(鳴金三聲) 한 연후에
고동(鼓動)이 세 번 울며 군악(軍樂)이 일어나니
엄위(嚴威)한 나팔(喇叭)이며 애원(哀怨)한 호적(胡笛)이라.
정기(旌旗)는 표표(飄飄)하고 금고(金鼓)는 당당하다.
한가운데 취고수(吹鼓手)는 흰 한삼(汗衫) 두 북채를
일시에 수십 명이 행고(行鼓)를 같이 치니
듣기에도 좋거니와 보기에도 엄위(嚴威)하다.
앞에는 공가교(空駕轎)요 뒤에는 타신 가교(駕轎)
무예청(武藝廳) 호위하고 그 밖에 별감(別監) 무감(武監)
모두 다 홍철릭에 공작우(孔雀羽) 꽂았으며
가교(駕轎)에 나옵시니 홍양산(紅陽傘)은 앞에 섰다.
그 밖에 협연군(俠輦軍)이 자개창(-槍) 뒤를 막고
그 밖에 나장(羅將)이는 주장(朱杖)들고 시위(施威)하고
대령포교(待令捕校) 사오 명은 백의(白衣)로 수가(隨駕)하고
약방내각(藥房內閣) 정원옥당(政院玉堂) 군복(軍服)하고 수가(隨駕)하고
위외(衛外)의 산반(散班)들은 철릭으로 배종(陪從)하고
후상(後廂)은 금위대장(禁衛大將) 삼천 병마(兵馬) 총독(總督)하고
원앙진(鴛鴦陣) 행군하여 삼십팔면(三十八面) 대기치(大旗幟)에
난후취(攔後吹) 취타(吹打)하고 후진(後陣) 되어 가는구나.
돌모로[石隅洞] 지나셨다, 노량(露梁)을 당하였네.
주교대장(舟橋大將) 결진(結陣)하고 강물을 굳게 막아
나는 새를 건넬쏘냐, 행보(行步) 좋은 선전관(宣傳官)이
표신(標信)을 손에 쥐고 홍령기(紅令旗) 앞세우고
주교영(舟橋營) 들어가서 표신(標信)을 전한 후에
방포삼성(放砲三聲) 진문(陣門) 열고 대가(大駕)가 드오신다.
명금(鳴金) 취타(吹打) 대진(大振)하니 어룡(魚龍)이 다 놀란다.
언기고(偃旗鼓) 신기전(神機箭)에 삼군(三軍)이 호령하니
풍운(風雲)이 변화하고 용사(龍蛇)가 비등(飛騰)한다.
규규(赳赳)한 무부(武夫)들은 공후(公侯) 간성(干城) 되었어라.
군제(軍制)가 정숙(整肅)하고 항오(行伍)가 정제(整齊)하다.
----------
* 계라차지(啓螺差知): 임금이 거둥할 때 겸내취(兼內吹)를 영솔하던는 선전관.
* 취타(吹打): 군대에서, 나발ㆍ소라ㆍ대각ㆍ태평소 등을 불고, 징ㆍ북ㆍ나(鑼)ㆍ바라를 치던 군악.
* 겸내취(兼內吹): 궁중에서 군악을 연주하던 악대.
* 패두(牌頭): 일정한 패의 우두머리
* 취타령(吹打令): 취타를 시작하거나 멈추게 할 때 내리는 명령.
* 작우(雀羽): 공작 깃털 .
* 명금삼성(鳴金三聲): 군악을 끝내는 신호로서 징을 세 번 치는 일.
* 고동(鼓動): 북을 치고 춤을 춤.
* 정기(旌旗): 정(旌)과 기(旗). ‘정’은 새의 깃으로 장목을 꾸미어 깃대 끝에 늘어뜨린 기(旗).
* 금고(金鼓): 군중(軍中)에서 지휘하는 신호로 쓰던 징과 북.
* 취고수(吹鼓手): 임금의 어가나 현관들의 행차에 따르는 악대.
* 행고(行鼓): 행군할 때 치던 북.
* 공가교(空駕轎): 임금이 타는 정(正)가교보다 앞서가던 빈 가교.
* 가교(駕轎): 두 마리의 말이 앞뒤에서 메고 가던 임금이 타던 가마.
* 대령포교(待令捕校): 어명을 받드는 포도대장.
* 수가(隨駕): 임금을 모시고 따라가던 일.
* 내각(內閣): 역대 임금의 글, 글씨, 보감(寶鑑) 등을 보관하고 관리하던 도서관.
* 위외(衛外): 임금이 거둥할 때 멀리서 호위하던 일.
* 산반(散班): 일정한 사무가 없는 벼슬.
* 배종(陪從): 임금이나 지체 높은 사람을 모시고 따라감.
* 후상(後廂): 임금의 거둥 때 뒤쪽을 호위하는 군대.
* 금위대장(禁衛大將): 금위영의 종이품 무관직
* 난후취(攔後吹): 임금이 탄 수레의 뒤를 따르던 취악대.
* 표신(標信): 궁중에 급변을 전할 때나 궁궐에 드나들 때 쓰던 문표(門標).
* 주교영(舟橋營): 주교를 가설하고 관리하던 관아.
* 방포(放砲): 군중(軍中)의 호령으로 포나 총을 놓아 소리를 냄.
* 어룡(魚龍): 물속에 사는 동물의 총칭.
* 언기고(偃旗鼓): 군기를 누이고 북을 쉰다는 뜻
* 용사(龍蛇): 용과 뱀.
* 규규(赳赳): 건장하고 늠름한 모양
* 공후(公侯): 제후(諸侯).
* 간성(干城): 방패와 성이라는 뜻으로,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군대나 인물


'고전총람(운문) > 풍물한양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양가(한산거사) - 7.과거 _ 나.과장의선비 (0) | 2020.10.13 |
---|---|
한양가(한산거사) - 7.과거 _ 가.과장준비 (0) | 2020.10.13 |
한양가(한산거사) - 6.능행 _ 라.능행호위 (0) | 2020.10.12 |
한양가(한산거사) - 6.능행 _ 다.능행준비 (0) | 2020.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