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풀어 읽기/한문산문

조귀명의 '왜로설(왜당나귀 이야기)'

New-Mountain(새뫼) 2018. 3. 11. 09:57
728x90

왜당나귀 이야기 - 왜로설(倭驢說)

조귀명(趙龜命: 1693 ~ 1737)

 

하생(河生)의 이름은 징()으로 대구 사람이다. 그의 이웃집에 말이 한 마리 있었는데 모양새가 몽땅하고 왜소하여 타고 다니기에 적당하지 않았다. 내어다 팔려고 하였으나 다리까지 절었으므로 사려는 사람도 없었다. 이에 하생이 삼백 전의 돈을 지불하고 시험 삼아 길러보기로 하였다.

 

河生澄大丘人也其隣有馬而形厖且矮不中騎欲賣則又蹇不售者生歸三百錢試取養之

 

해를 넘기자 절던 다리도 나았고 재주도 예사롭지 않은 점이 있었다. 그 말을 타고 서울을 가는데 칠백 리 길을 겨우 나흘이면 도착할 수 있었다. 무릇 객주(客主)에라도 들게 되면 함께 쉬어 가거나 말에게 먹이를 먹이고 있던 나그네들이 모두들 힐끗힐끗 쳐다보면서 신기한 구경거리로 여겼다. 어떤 이들은 말이라고 하였으며, 또 어떤 이들은 당나귀라고도 하고 또 어떤 이들은 노새와 같이 생겼다고 하였다.

 

逾年蹇旣已而其材顧有異也騎而之京師踔七百里財四日至焉凡入逆旅客之同休秣者皆旋視以爲異觀或曰馬也或曰驢若騾也

 

하생에게 진지하게 물어왔으므로 하생은 짐짓 농담으로 이것은 왜당나귀(倭驢)’인데 왜관(倭館)에서 구입하였노라고 대답해 주니, 모두들 놀라워하는 기색이었다. 값을 얼마나 치렀냐고 물으면 하생은 일부러 가격을 부풀려서 얼마를 주었노라고 대답해주니 모두들 그러하냐고 수긍하였다. 팔기를 청하는 자가 있으면 짐짓 잡아 빼면서 아깝다는 내색을 보이니, 모두들 창연히 돌아가곤 하였다.

 

齗齗焉質之生生則故戱之曰是名倭驢買諸倭舘者皆竦然問其價則故翔騰之曰幾緡皆曰唯請買則又故靳之爲甚惜也者皆悵然而去

 

서울에 이르자 장안의 사대부들과 날로 더불어 상종하였는데, 그들이 묻는 말도 한결 같이 객주에서 만났던 사람들의 질문과 같았으며, 하생 역시 그와 같이 대답해 주었다. 이에 이르자 사람들이 서로 다투어 사겠다며 줄지어 늘어서서 수십 일이 되도록 그치지 않았다. 이윽고 모든 사람들이 서로 이것을 진짜 왜당나귀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는 것을 헤아리고는, 사실을 사실대로 모두 설명해 주니 모두들 실망스럽다는 듯 속은 것을 부끄러워하였다. 이 일이 있은 후로는 하루 종일 마구간 앞에 버티고 서있더라도 다시는 어느 누구도 뒤도 돌아보지 않고 지나쳐 갔다.

 

及至京京之士大夫日相從其問一如逆旅人生之答之亦如之於是爭買者相屬累十日不止旣而生度諸人之眞相信不疑也乃以實告皆憮然媿其見欺自是立之廐終日客不復顧而去矣

 

하생이 말하기를,

세상에서 이름만을 좋아하여 쉽게 속임을 당하는 것이 마치 이와 같다고 하겠다. 말이라고 하면 귀한 줄을 모르고 하찮게 여기다가, 당나귀라고 하면 그것을 귀하게 여기고, 토산(土産)이라고 하면 이상할 것 없이 평범하게 여기다가도, ()에서 나온 물건이라고 하자 그것을 신기한 것으로 여기는구나. 몽땅하고 왜소하여 못 생긴 이 말에게 왜당나귀라는 이름을 붙여주자 사람들이 빈번하게 붙좇아 들었던 것은, 오직 내가 그들에게 이것을 팔지 않을까 염려해서였다. 만약 그 때에 내가 오직 이익만을 챙기는 천장부(賤丈夫)처럼 처신하여 그들의 요구에 따라 순순히 그것을 팔아버렸다면 아무도 모르게 속임을 당하지 않을 자가 어디 있었겠는가.”

 

河生曰世之好名而易欺也如是夫謂之馬也不之貴而謂之驢也則貴之土之産也不之異而倭之産也則異之是厖而矮者而冒之以倭驢之名靡然者唯恐其不我賣也向使我如賤丈夫之惟利之視厭然從其求而賣之有不永受欺者乎

 

라고 하였다. 동계거사(東谿居士)가 이 말을 듣고는 웃으며 말하기를,

그대는 유독 견양(汧陽)의 돼지라는 이야기를 들어보지 못하였는가. 옛날 소자첨(蘇子瞻)이 형양 지방의 돼지고기 맛이 지극히 좋다는 말을 듣고는 사람을 보내어 사오도록 하였다. 그런데 심부름을 갔던 자가 술을 마시고 취하여 돼지를 잃어버리고 말았다. 심부름꾼은 할 수 없이 다른 돼지로 바치게 되었는데, 함께 고기를 먹게 된 사람들은 아무도 그 사실을 알지 못하고는 어느 고기도 비할 수 없는 지극한 맛이라며 크게 으쓱거렸다고 하지 않던가.

소문만을 듣고 음식을 구하는 그러한 습관은 아마도 옛날부터 그래 왔다. 그런데 하물며 통통하고 왜소하였으니 왜당나귀라는 이름으로 부르더라도 겉모습이 믿을 만 했고 하루에 수백 리를 달릴 수 있어 그 재주도 또한 실재로 믿을 만 하였으니, 이름()만을 믿을 수 있었던 형양의 돼지와는 비할 수 없는 바가 있다고 하겠다.

그건 그렇고 나의 생각은 이러하다. 그것을 먹어 보고 실제로 맛이 좋으면 먹으면 되는 것이지 하필이면 형양의 돼지이어야만 하겠으며, 타보고 실제로 잘 달린다면 타는 것이지, 왜 하필이면 왜당나귀이어야만 하겠는가. 저들 가운데, 하루에 수백 리를 가는 실재의 재주를 귀하게 여기면서, 반드시 왜당나귀라는 이름을 가진 물건을 사려는 자도 실로 잘못이 지나치다고 하겠으나, ‘왜당나귀가 아닌 것이 판명되었다고 해서 하루에 수백 리를 달릴 수 있는 실재의 능력마저도 아울러 돌아보지 않는 자들이야 말로 더욱 옹졸함을 알 수 있다.

또 대저 이 말이 실로 천 리를 달릴 수 있으면 오추(烏騅), 적토(赤兎)와 같은 준마의 이름을 붙여줄 수 있는 것이고, 삼만 리를 달릴 수 있다면 녹이(騄駬), 황도(黃駼)와 같은 이름을 붙여줄 수도 있는 것이다. 어찌 이러한 경우에도 유독 왜당나귀라고 칭해야만 하겠는가. 진실로 실재(實在)에 있어 부끄러운 점이 없다면 명색(名色)이야 혹 빌려오거나 빗대어 견주더라도 혐의될 것이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른바 오추, 적토, 녹이, 황도라고 하는 것은 대개 상고 시대의 훌륭한 말의 이름에서 대부분 취하여 썼으며, 그리고 그것은 사람의 여하에 달려 있는 것이다.

가령 조()나라의 마부가 저 유명한 왕량(王良)이라는 마부의 칭호를 모칭하고, () 나라의 의사(醫師)가 저 유명한 편작(扁鵲)의 명성을 빌렸으되, 그 당시의 사람들은 이름을 모칭하고 명성을 빌렸다고 해서 그들이 세상을 속였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이를 통해 본다면 그대가 애초 세상을 속인 것이 아니며 세상도 역시 애당초 자네에게 속임을 당한 것이 아니었다. 속임수의 실체라는 것은, 가령 시장에서 값싼 채찍을 화려하게 치자(梔子)로 물들이고 밀납(蜜蠟)으로 광을 내어 비싼 값으로 팔아먹고, 그것을 사 간 자는 결국 제대로 한번 써보기도 전에 색이 바래고 망가지는 그러한 경우에나 가당한 것이다.”

하였다.

 

東谿居士聞之而笑曰子獨不聞夫汧陽猪之說乎昔蘇子瞻聞汧陽猪肉至美遣人買焉使者醉失之以它猪進與之食者皆不知也大詑以爲非它産所及以耳食之患

盖自古而然矣况厖而矮焉而其形信日馳數百里而其才信不唯止於汧陽之名之可信而已乎

雖然余則以爲食之而實美則斯食之奚必汧之猪哉騎之而實駿則斯騎之奚必倭之驢哉彼不但貴日馳數百里之實而必以倭驢之名而買之者固過矣而其懲於失倭驢之名而並與日馳數百里之實而棄之者尤見其陋也

且夫是馬也誠有千里之能斯可名烏騅赤兎矣有三萬里之能斯可名綠駬黃駼矣豈特倭驢之稱乎哉實之苟無所媿名或借儗而無嫌故所謂烏騅赤兎綠駬黃駼者盖多取諸上古良駟之名而在於人也

趙御冒王良之號盧醫假扁鵲之聲當世顧不以假冒而謂之欺也由是觀之子未始欺乎世而世亦未始受欺乎子也欺之實惟市之梔蠟其鞭五萬售而一擊折者當之矣

 

하징이 요새 소설(小說)로 지어 전해달라고 부탁해 왔기에 이와같이 써서 보여주었다. 하징이라는 자는 다방면에 걸친 재주로 명성을 얻었다고 한다.

 

河生間屬余作小說傳之故書此以示河生方以旁技有盛名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