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풀어 읽기/한문산문

홍우원의 '목근침설(나무 뿌리로 만든 베개)'

New-Mountain(새뫼) 2018. 3. 6. 00:28
728x90

목근침설(木根枕說) - 나무 뿌리로 만든 베게

홍우원(洪宇遠)

 

나무가 길옆이나 밭두둑에서 자라 소, 양에 시달리고 도끼가 찍어 가지가 밖으로 뻗지 못하고 뿌리가 땅 속에서 뭉치고 얽혀 구불구불 구부러져 해가 지날수록 더욱 울퉁불퉁한 혹이 달리고 상하 좌우로 꺾기고 구부러졌다. 농부가 밭두둑을 개간하다 파서 뽑아 길 가운데로 던져 버렸다.

 

木之生於道傍田畔者厄於牛羊之牧斧斤之尋也其枝柯不能條達於外而根鬱結盤屈於地中歲久而益擁腫輪囷焉田夫之闢其疇者掘而拔之擲棄之途中焉

 

이것을 내가 우연히 발견하여 특이한 것으로 생각하여 간직할 만한 것이라고 여기고 끌고 집으로 가져 왔다. 칼로 깎아 다듬고 좀 먹은 부분은 파서 도려내고 썩은 부분은 깎아내어 베개를 만들었다. 이 베개를 뒤로 물러나 앉아서 바라보니 넘어지지 않게 버티는 것은 발 같고 뾰족하게 솟은 것은 뿔 같고, 높으면서도 평편한 것은 등 같아, 돌이 많이 쌓여 있는 것 같으면서 울퉁불퉁하고 앙상한 모양을 한 기이하게 생긴 물건이었다. 나는 웃으면서 이 물건은 산촌(山村)에 있는 집의 기이한 노리개가 아닌가 여겼다.

 

余偶遇而異之曰此可居挈之歸加以刀削剔其蠹刮其朽而以爲枕焉却坐而視之撑者如足曳者如尾昂然者若頭嶄然者若角隆然而平者若背磈礨龍鍾焉一怪物也余笑曰此非山家之奇玩耶

 

매양 사립문으로 손님이 떠난 후 초당이 낮에 고요하면 책을 읽고 시를 읊다가 기력이 차츰 떨어져 고달픔을 느끼게 되면, 혹 비스듬이 이 베개에 기대기도 하고 혹 고이고 눕기도 하면서 펄펄 날아다니는 나비가 되어 꿈속에서 남가(南柯)와 화서(華胥)의 사이에서 인생을 즐기면서 자적(自適)하였기 때문에 나는 이 베개를 매우 소중하게 여겨 호박으로 꾸미거나 무늬를 수놓은 세상에서 아무리 좋은 베개와도 바꾸고 싶지 않았다.

 

每柴扉客去草堂晝靜讀書哦詩神氣稍倦或欹而凭或支而臥栩栩然蝴蝶自適於南柯華胥之間也余甚愛惜之雖世之以琥珀飾而文繡被之者亦不願易也

 

, 나는 일찍이 대개 행복과 불행이 그 사이에 있다고 나름대로 생각하였다. 무릇 높은 산과 깊은 골짜기 가운데서 자라나서 소·양과 도끼의 재난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번성한 가지와 조밀하게 난 나뭇잎이 무럭무럭 자라 무성하고 빽빽하게 우거져 드높은 하늘처럼 높고 그 그늘은 소를 가릴 수 있을 만큼 크게 자라나 천수를 다하게 된 것은 곧 나무의 행복이다.

 

余嘗嘿而思之蓋有幸不幸者存乎其間焉夫生乎高山深谷之中遠乎牛羊斧斤之厄繁枝密葉暢茂蔥鬱以至昂霄之高蔽牛之大而得終其天年者乃木之幸也

 

그런데 지금 이 나무는 길 옆 밭두둑에 나서 도끼가 가지와 줄기를 상하게 하고 소·양이 가지와 뿌리에서 돋아난 싹을 해쳐 마침내는 파서 뽑아서 던져 버리는 지경에까지 이르렀으니, 그 불행이 어떠하다고 하겠는가. 그러나 가령 이 나무가 길 옆 밭두둑에서 자라지 않아서 소·양과 도끼의 재난을 입지 않았다면 뭉치고 얽혀 구불구불 구부러져서 울퉁불퉁 혹이 달리고 상하 좌우로 꺾이고 굽어 기이한 모양의 뿌리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

 

今是木也道傍田畔之是生也斧斤戕其柯榦牛羊賊其萌孼終至於拔掘之擲棄之斯其不幸也何如哉然使是木也不生於道傍田畔而不厄於牛羊斧斤也則無以鬱結盤屈擁腫輪囷而怪於根矣

 

아무리 생김새가 기이한 뿌리가 되었더라도 파서 뽑아내어 던져진 환란을 당하지 않았다면 그 기아한 형체와 특이한 모양을 필시 스스로 밖으로 드러내 보였더라도 진실로 나같은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지 못했더라면 또한 거두어져 베개가 되지 못하고 마침내는 썩어버리고 말았을 것이다. 그러니 이른바 행복이라는 것은 과연 행복이며 이른바 불행이라는 것은 과연 불행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 이 또한 불행 중 다행으로 나를 만나게 된 것이다.

 

雖怪於根而不遭拔掘擲棄之患則其奇形異態必不能自呈露於外矣奇形異態雖得呈露於外而苟不能遇余之知之則亦莫得收以爲枕而終歸於腐朽而止耳然則其所謂幸者果幸耶其所謂不幸者果不幸耶嗚呼其亦幸於不幸而得遇於我矣

 

문득 나는 여기에서 마음에 느낀 바 있다. 바야흐로 이 뿌리가 길 가운데 내버려졌을 때 이것을 본 사람 중에 누가 쓸 데 없다고 하지 않으랴! 그러나 나에게 한번 거두어져서 마침내는 유용한 기물이 될 수 있었으니, 이로부터 천하에 애당초 버릴 수 있는 물건이 없다는 것을 알겠다.

 

抑余又有所感於心者方是根之棄擲於途中也人之見之者孰不以爲無所可用也然而一見收於余而終得爲有用之器以此知天下初無可棄之物也

 

이 세상에서 탁월하고 훌륭한 선비로서 큰 도()를 품고 재주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알아주는 이를 만나지 못하는 사람이 어찌 한정이 있겠는가. 그러나 매우 불우하고 곤궁하고 뜻을 이루지 못한 때를 만나면 빈천(貧賤)에 허덕이고 우환이 밀려들어 용렬한 사람과 비루한 사람까지도 그를 눌러 움츠리게 하고 학대하며 욕보인다.

 

世之卓詭瑰奇之士懷道抱才而不見知者何限當其厄窮坎壈之甚也貧賤汩之憂患萃之庸人鄙夫皆得以轢蹙而折辱之

 

이 때문에 훌륭한 선비는 기세가 꺾여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재덕(才德)을 감추어 두고 두각을 나타내지 않고 용이 서리고 있는 듯이 자벌레가 움츠리고 있는 듯이 깊이 숨고 깊숙한 곳에 엎드려 있어 재주는 당대에 나타나지 못하고도 도()는 세상에 쓰여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의 훌륭하고 탁월한 기()는 꽉 막혀 몸 가운데 축적되어 있다가 혹 원망과 불평에 격동되어 때로 밖으로 발로되는 경우가 있는데도, 알지 못하는 사람은 버림받은 사람으로 여겨 모른 체 한다.

 

是以摧藏韜匿蟄其頭角龍蟠蠖屈潛深伏隩才無所著於時道無以行乎世而其瑰奇卓詭之氣壅鬱蓄積於中或因怨懟不平之激而時有所發露於外者焉彼不知者以爲棄物而置之

 

, 현명한 임금과 어진 재상이 알아주어 등용하지 않는다면, 위에서 말한 길 가운데 버려진 나무와 같이 되지 않을 사람이 과연 몇 사람이나 되겠는가! 무릇 만물은 사람과 더블어 그 이치가 한가지이니 국가를 소유한 사람이 진실로 나의 이 설()을 얻어 간직한다면 생민의 심신을 거의 안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嗚呼不有明君良相遇而識之引以登之則幾何其不爲途中之棄木也夫物之與人其理一也有國家者苟得吾是說而存之則生民之奠枕其庶矣乎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