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臘月二十二日 有昌城之命 初過忘憂嶺 是日甚寒
(납월이십이일 유창성지명 초과망우령 시일심한)
; 섣달 이십이일에 창성으로 유배시키라는 명이 있어
처음으로 망우령을 지나는데 이날 매우 추웠다.
* 是日 待命于靑坡村舍 再疊前韻
(시일 대명우청파촌사 재첩전운)
; 이날 청파의 마을 집에서 명을 기다리면서,
앞의 운을 재차 사용하여 짓다
* 到靑坡 移配慶源 又移三水 正月九日 改北靑
延陵諸君携壺 送于山壇道左
(도청파 이배경원 우이삼수 정월구일 개북청
연릉제군휴호 송우산단도좌)
; 청파에 이르니, 경원으로 이배시켰다가,
또 삼수로 옮기었고,
정월 구일에는 북청으로 고쳐 이배시켰는데,
연릉 등 제군이 술을 가지고 와서
산단의 길 아래에서 전송하였다
* 定平儒生等會于道左 求一見面 喜賦六言一絶
(정평유생등회우도좌 구일견면 희부육언일절)
; 정평의 유생들이 길 아래에 모여서
얼굴 한 번 보기를 요청하므로,
기뻐서 육언으로 절구 한 수를 짓다
* 始有三水之命 命改北靑 路踰鐵嶺 喜而有作
(시유삼수지명 명개북청 노유철령 희이유작)
; 처음에 삼수로 유배시키라는 명이 내렸었는데,
다시 북청으로 바꾸었으므로,
철령을 넘으면서 기쁜 생각이 들어 짓다
(뫼한시)이항복이 한시(13)-유배를 당하여 5수.pdf
0.42MB
728x90
'고전 풀어 읽기 > 한시,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항복의 한시(14) - 그림에 제하다 2수 (0) | 2025.02.06 |
---|---|
경기잡가 '출인가(出引歌)' 원문과 풀이 (0) | 2025.02.05 |
이익의 한시 '화왕가(花王歌)' 원문과 풀이 (0) | 2025.02.03 |
이항복의 한시(12) - 그저 읊어 보다 4수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