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海南吏(해남리) ; 해남 고을 아전
丁若鏞(정약용, 1762~1836)
신영산 옮김
客從海南來 객종해남래 나그네 한 사람이 해남에서 왔는데,
爲言避畏途 위언피외도 말하기를, “위험한 길 피해 가며 왔소이다.”
坐久喘未定 좌구천미정 한참 앉아 있었어도 숨 가누지 못했으니
怖㥘猶有餘 포겁유유여 두려움에 떨린 기색 아직도 남아 있네.
若非値豺狼 약비치시랑 이리와 승냥이와 만난 게 아니라면
定是遭羌胡 정시조강호 틀림없이 오랑캐와 마주친 것이렷다.
催租吏出村 최조이출촌 “세금을 독촉하러 아전들이 마을에 와
亂打東南隅 난타동남우 이리저리 다니면서 마구 때려 부쉈다오.
新官令益嚴 신관령익엄 새로 오신 원님의 명령은 더욱 엄해
程限不得踰 정한부득유 정해진 기한을 넘길 수 없다네요.
橋司萬斛船 교사만곡선 만섬을 실어야하는 교사에 속한 배들
正月離王都 정월이왕도 정월에 한양을 이미 떠났다 하더이다.
滯船必黜官 체선불출관 이 배가 지체되면 원님이 파직된다고
鑑戒在前車 감계재전거 전례가 분명하니 조심하라 하더이라.
嗷嗷百家哭 오오백가곡 온 마을 사람들이 구슬피 통곡해도
可以媚櫂夫 가이미도부 그저 뱃사공에게 아첨만 하였지요.
吾今避猛虎 오금피맹호 내 이제 사나운 호랑이를 피해 왔으나
誰復恤枯魚 수복휼고어 어느 뉘라 말라버린 물고기를 살려주리오.”
泫然雙淚垂 현연쌍루수 그렁그렁 두 눈에서 눈물이 쏟아지고
條然一嘯舒 조연일소서 긴 한숨에 이야기가 섞여서 나오더라.
* 교사 : 세금 운반을 위한 배를 만들던 관아.
728x90
'고전 풀어 읽기 > 한시,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약용의 '양물이 잘리는 슬픔(애절양)' (0) | 2022.05.22 |
---|---|
홍양호의 '수자리 서는 병졸의 원망(수졸원)' (0) | 2022.05.21 |
정약용의 '파지 마을 아전(파지리)' (0) | 2022.05.20 |
정약용의 '용산 마을 아전(용산리)' (0) | 202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