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9. 허균(許筠, 1569~1618), 黃牧送二妓(황목송이기) ; 황주 목사가 기생 둘을 데려오다
20. 양경우(梁慶遇, 1568~?), 五山寓所有海棠一朶 賦詩(오산우소유해당일타 부시) ; 오산이 잠시 머무는 곳에 해당화 한 그루가 있어 시를 짓다
21. 이응희(李應禧, 1579~1651), 海棠(해당화)
22. 조경(趙絅, 1586~1669), 詠海棠(영해당) ; 해당화를 노래하다
23. 이민구(李敏求, 1589~1670), 海棠落 過一月 忽發一朶 作詩記異(해당락 과일월 홀발일타 작시기이) ; 해당화가 떨어진 지 한 달이 지나 갑자기 한 송이가 피었기에 시를 지어 기이함을 기록하다
24. 기녀 취선(翠仙, 17세기 전후), 春粧(춘장) ; 봄날에 단장하며
728x90
'고전 풀어 읽기 > 한시,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학규의 한시 '채복녀(전복 따는 여인)' 원문과 풀이 (0) | 2023.08.30 |
---|---|
한시 '해당화를 노래하다(5)' (0) | 2023.08.24 |
한시 '해당화를 노래하다(3)' (0) | 2023.08.22 |
한시 '해당화를 노래하다(2)' (0) | 2023.08.21 |